연일 오르는 서울 아파트, ‘중간가격’ 사상 처음 7억원 돌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크게 올랐다. [중앙포토]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크게 올랐다. [중앙포토]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 이른바 ‘중간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7억원을 넘어섰다.

2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주택가격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중간가격은 작년 말(6억8500만원) 대비 3%(2000만원)가 올라 7억5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월 6억원을 돌파한 지 불과 9개월 만에 다시 1억원이 뛰었다. 국민은행의 관련 조사가 진행된 2008년 12월 이후 서울 아파트 중간가격이 7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단기간에 중간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 재건축을 비롯한 강남권 아파트 단지의 상승세 때문으로 분석됐다.

중간가격은 주택 매매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있는 가격을 말하는데, 순수하게 정중앙 가격만 따지는 것이어서 오히려 시세 흐름을 판단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와 달리 평균가격은 가구 수로 가중평균이 돼 저가주택의 수가 많으면 평균가가 낮아지고, 고가주택의 수가 많으면 평균가가 높아지게 된다.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7억원을 넘어섰다.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7억원을 넘어섰다. [연합뉴스]

현재 국민은행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6억7613만원으로 중간가격보다 낮다. 서울 아파트 중간가격은 2009년 7월 5억203만원으로 처음 5억원대 고지를 밟은 뒤 작년 4월 6억원에 도달하기까지 7년 반이 넘는 시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지난달 7억원을 돌파하는 데는 불과 8개월이 걸렸을 뿐이다.

정부는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고 보고 지난 2016년 11월부터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로 돌아섰고 작년 8월에는 역대 최강의 규제로 꼽히는 ‘8ㆍ2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일단 지난달까지 다락같이 오르는 집값을 잡는 데는 역부족이었다는 지적이다.

단기간에 중간가격이 1억원이 뛴 것은 재건축을 비롯한 강남권의 아파트 단지가 상승세를 견인한 영향이 크다.

지난달 강남 11개 구의 중간가격은 8억9683만원으로 전월(8억6645만원) 대비 3.5% 뛰었다. 이에 비해 강북 14개 구의 중간가격은 4억7969만원으로 작년 말(4억7188만원) 대비 1.65% 상승에 그쳤다.

강남 11개 구의 아파트 중간가격이 한 달 새 337만원 오르는 동안 강북 14개 구의 중간가격은 780만원 상승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크게 올랐다. [중앙포토]

서울 아파트의 중간가격이 크게 올랐다. [중앙포토]

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런 추세면 강남 11개 구의 중위가격은 2월 조사 기준 9억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며 “강남 11개 구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고가주택 대열에 들어서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저가 아파트는 잘 안 오른 반면 고가 아파트에는 오히려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가격이 많이 뛴 경향이 있다. 그러면서 중간가격도 덩달아 따라 올라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