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3700㎞ 도발, 괌 사거리 넘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을 한 15일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4분간 통화를 했다. 두 정상은 “국제사회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75호를 채택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단합된 의지를 표명했음에도 또다시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미사일 발사 소식을 즉각 보고받았다. [사진 청와대=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을 한 15일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4분간 통화를 했다. 두 정상은 “국제사회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75호를 채택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단합된 의지를 표명했음에도 또다시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미사일 발사 소식을 즉각 보고받았다. [사진 청와대=연합뉴스]

북한이 6차 핵실험 12일 만에 다시 탄도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 IRBM 추정 미사일 발사, 일본 지나 북태평양 떨어져 #역대 최장거리 비행 … 3400㎞ 떨어진 괌 타격 능력 과시 #아베, 문 대통령과 통화서 800만 달러 대북지원 문제 제기

15일 오전 6시57분 북한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상공을 지나 에리모미사키(襟裳岬) 동쪽 2000㎞ 북태평양까지 날아갔다. 사거리가 역대 최장인 3700㎞(최대 고도 770㎞, 비행시간 20분)를 기록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발사체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으로 추정했다. 미사일 전문가인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도 “화성-12형 미사일을 정상 각도(30~45도)로 실사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의 미사일 ‘폭주’는 올 들어 14번째, 문재인 정부 들어서만 여덟 번째다.

①괌 타격능력 과시=김낙겸 북한 전략군사령관은 지난달 9일 “화성-12형 미사일이 괌까지 3356㎞를 1065초간 비행한 후 괌 주변 30~40㎞ 해상에 떨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북한이 지난달 29일 북태평양을 겨냥해 발사한 화성-12형의 사거리는 2700㎞였다. 북한은 그간 고도를 높이는 대신 사거리를 줄이기 위해 화성-12형 미사일을 쏠 때는 고각(高角·발사 지점과 최고고도를 연결한 직선이 80도 안팎) 사격을 실시해 왔다. 2700㎞ 날아간 화성-12형 발사가 첫 정상 각도를 통한 실사격이었으나 북한에서 괌까지의 거리인 3400㎞에 못 미쳐 미사일 발사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그러나 이번 미사일 낙하지점은 괌까지의 거리를 훌쩍 넘긴 3700㎞였다. 17일 만에 사거리가 1000㎞ 늘어나고, 고도 역시 약 220㎞ 상승하면서 괌 타격 능력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②핵-미사일 패키지 도발=이번 미사일 도발은 유엔 대북제재에 대한 ‘맞불 도발’의 성격도 있다. 지난 1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 석유수출 등을 제한하는 대북제재 결의 2375호를 채택했다. 과거에도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안이 나오면 보란 듯이 추가 도발을 하곤 했다. 이번에도 북한이 사흘 만에 전격 대응에 나서면서 올해의 경우 화성-12형 미사일 발사(5월)→유엔 대북제재 2356호 채택(6월)→화성-14형 발사(7월)→6차 핵실험(9월 3일)→유엔 대북제재 2375호→탄도미사일 도발 등의 패턴이 되풀이되고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하루 전 포착하고 대비하고 있다가 미사일 발사 6분 뒤인 오전 7시3분 현무-2 탄도미사일을 대응 발사했다. 발사장에서 도발 원점인 순안공항까지의 거리(250㎞)만큼 쐈다. 한국과 북한이 방향만 틀어 각각 순안공항과 괌을 향해 거의 동시에 탄도미사일을 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며 “이런 상황에서는 대화도 불가능하다”며 “정부는 도발을 좌시하지 않고 북한을 변화시킬 단호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에게는 북한의 도발을 조기에 분쇄하고 북한을 재기불능으로 만들 힘이 있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도 했다. 아베 총리는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영유아와 임산부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다”고 답했다.

정용수·이철재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