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트럼프 “북, 매우 매우 나쁜 행동 … 꽤 엄중한 조치 고려 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6일(현지시간) 폴란드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한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AFP=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폴란드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한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AFP=연합뉴스]

“꽤 엄중한 조치(some pretty severe things)를 고려 중이다.”

군사행동 의향 있느냐는 질문엔 #“무슨 일 벌어질지 나는 모른다” #안보리선 미·중·러, 대북 대응 충돌 #미 “막강한 군사력, 필요하면 사용” #중·러 “한반도서 사드 철회” 역공

6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묻는 질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 답변이다.

폴란드를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안드레이 두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매우 매우 나쁜 행동’(very, very bad behaviour)엔 엄중한 결과가 뒤따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ICBM 발사에 대해 군사행동을 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는 나는 모른다”는 말도 했다. “나는 오바마 대통령과 달리 북한에 대해 ‘레드라인’을 긋지는 않았다”면서도 강경한 발언을 쏟아냈다. “북한이 이처럼 매우 매우 위험하게 행동하는 건 부끄러운 짓”이라며 “앞으로 수주, 수개월 동안 벌어지는 일을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앞서 5일(현지시간) 오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소집한 긴급회의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군사력을 동원해서라도 북한 핵·미사일 위협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자신과 동맹국 방어를 위해 모든 능력을 사용할 준비가 돼 있다. 우리 능력 중 하나는 막강한 군사력(considerable military forces)”이라면서다.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미국 대사가 군사력 사용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헤일리 대사는 “북한은 외교적 해법으로 (사태를 해결할) 가능성을 빠르게 닫아버리고 있다”며 “해야 한다면 (우리가 군사력을) 사용하겠지만 그런 방향으로 진입하지 않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도 말했다.

이에 류제이(劉結一) 중국 대사는 “대북 군사적 수단은 옵션이 될 수 없다”고, 블라디미르 사프론코프 러시아 차석대사도 “군사적 수단은 배제돼야 한다”고 발끈했다. 오히려 두 대사는 역내 안정을 위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유엔 차원의 대북 추가 제재를 놓고도 미국과 중·러는 대립했다. 헤일리 대사는 “새롭고 강력한 대북 유엔 결의를 제안할 방침”이라고 밝혔고, 영국과 프랑스도 이에 동조했다. 하지만 류 대사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함께 멈추는 쌍중단(雙中斷)을 해야 한다”며 대화 협상론을 다시 꺼내 들었다.

헤일리 대사는 결국 “북한과 친구가 되길 원한다면 새로운 제재 결의에 비토(거부권)를 행사하면 된다”며 “새 대북제재 결의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우리는 우리 길을 갈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AP통신 등 외신들은 양측의 시각차가 큰 만큼 결의안이 나오기까지 상당한 진통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원하는 추가 대북제재로는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또는 제한, 북한 노동자 해외파견 금지 등이 거론된다. 외신들은 안보리와는 별개로 미국이 강력한 독자 제재안을 들고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헤일리 대사가 언급한 건 미국과 북한 교역국 간 ‘교역 제한’이었다. 그는 “어느 누구든 북한과 거래를 하면서 (안보리) 결의를 쓸모없게 만든다면 참지 않겠다”며 “유엔 제재를 위반해 북한과 교역을 허용하고 장려하는 국가들과 미국이 무역을 계속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사실상 대북 교역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의 대미 교역 제한 가능성을 거론한 것이다. 또 북한과 거래하는 제3자를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이 등장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AP통신은 “미국이 안보를 희생하면서까지 중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에 대한 강력한 경제적 압박이 현실화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