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아 체중계? 헬스케어 회사로 돌아온 노키아

중앙일보

입력

한때 세계 최고의 휴대전화 회사였던 노키아가 헬스케어 제품으로 가전 회사 컴백을 모색하고 있다. 노키아는 스마트폰의 등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해 경쟁에서 뒤처졌고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에 휴대전화 부문을 매각했다. 이후 통신 장비 사업에 주력해 왔으나, 지난해 프랑스 헬스케어 스타트업 위딩스를 인수한 이후 소비자 가전제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한때 세계 휴대폰 시장 제패한 핀란드 노키아 #스마트폰 시대 대응 못해 휴대폰 사업 MS에 매각 #지난해 인수한 e헬스케어 스타트업으로 올여름 승부수

노키아는 올여름께 스마트 체중계, 혈압 모니터 기기, 체온계 등 인터넷으로 연결해 사용하는 헬스케어 기기를 내놓을 예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 보도했다. 이 제품들은 노키아 브랜드로 출시될 예정이다.

노키아 로고.

노키아 로고.

스마트 체중계는 전자 신호를 통해 간단하게 체지방을 측정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 운동량을 모니터하는 피트니스 트래킹 기기, 공기 품질 모니터 기기,  건강을 분석해주는 혈압계 등을 100~200달러에 판매할 예정이다. 지난해 전문 영상 촬영을 위한 가상현실(VR) 카메라를 출시한 데 이어 취미 생활자를 위한 값싼 VR 카메라도 내놓을 계획이다.

WSJ은 노키아가 소비자 가전 시장으로 복귀를 노리는 것은 노키아라는 브랜드의 가치를 활용하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노키아는 자체 조사 결과 세계 소비자의 95%가 노키아 브랜드를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노키아의 소비자 제품 마케팅 최고책임자인 롭 르브라브라운은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시장 분위기는 조금 달랐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아네트 짐머맨 애널리스트는 “노키아라는 브랜드는 더 이상 좋은 상품이나 훌륭한 혁신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노키아 이름에 기대는 것만으로는 헬스 기기를 팔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노키아의 헬스케어 기기, VR 사업 분야 매출액이 11억 유로(약 1조3700억)로, 전체의 4%를 차지했다. 통신 장비 매출액은 218억 유로(약 27조1300억원)로 매출의 91%였다.

노키아의 변신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865년 목재 펄프 사업으로 시작한 노키아는 전자, 고무, 방위산업으로 영역을 넓혔고, 1980년대 이후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까지 휴대폰 최강자로 군림했다.

박현영 기자 hy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