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공소장에 대통령 범죄 적시 땐 탄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광화문 촛불집회’(12일) 전까지만 해도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후퇴’ 요구가 당론이었다. 지난 7일 민주당 윤관석 대변인은 “대통령의 2선 후퇴 압박을 높여가는 차원”이라며 “루비콘강 근처까지 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12일 광화문 집회 이후 민주당은 루비콘강을 건널 기세다. 2선 후퇴를 넘어 하야까지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문재인 측 “질서있는 퇴장이 대안”
안철수 “대통령 정치적 퇴진 선언을”

추미애 대표는 13일 최고위원·중진 의원 연석회의에서 “대통령께서 마지막 하실 일은 불상사가 일어나기 전에 평화롭고 순조롭게 순리대로 정국 정상화에 결자해지 하시라는 것”이라며 “그렇지 않다면 국민의 손으로 헌법이 대통령께 드린 권한을 돌려받는 절차가 남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윤관석 대변인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선(先) 2선 후퇴, 후(後) 국정 정상화 협조 및 퇴진운동 중단’이라는 당론(단계적 퇴진론) 변경 여부에 대해 “민심은 ‘국정에서 완전 물러나라’고 요구하는 만큼 박 대통령의 답변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탄핵준비론도 나왔다. 민병두 의원은 페이스북에 “검찰의 (최순실씨) 공소장에 교사범 등 대통령의 범죄가 적시된다면 국회는 헌법 에 따라 탄핵에 들어가는 책무를 안게 된다”고 적었다.

문재인

문재인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요구해 왔던 문재인 전 대표 측도 ‘퇴진 불가피’ 쪽으로 기울고 있다. 문 전 대표의 핵심 참모는 “하야나 탄핵 이후 60일 내 조기 대선 실시에 따른 국민들의 선택권 문제 등을 감안하면 퇴진 시기를 정해 놓은 질서 있는 퇴진이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당 관계자는 “12일 집회를 기점으로 강경파뿐 아니라 중도·온건파 의원들도 ‘하야 불가피’ 쪽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공동대표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퇴진 선언→여야 합의로 총리 선출→총리의 대통령 퇴진 일시 및 향후 정치시간표 관리(조기 대선) 등의 3단계 수습책을 제시했다. 안 전 대표는 “국민들이 직접 선출하지 않은 총리는 관리형 총리밖에 안 된다. 앞으로 14개월간 우리나라가 관리만 해서야 되겠느냐”고 말했다.

유성운·안효성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