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한일 연쇄 차관협의…"北 도발 美에도 직접 위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6일 한·일 및 한·미 외교차관 협의가 잇따라 열렸다. 대북 공조 방안 등이 주로 논의됐다.

27일 열릴 예정인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 참석차 일본 도쿄를 방문중인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오후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과 만나 북핵 대응 방안 등을 협의했다.

임 차관과 블링컨 부장관은 “북한의 연이은 도발이 한반도 뿐 아니라 미국에도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며 “제재·압박을 통해 북한이 비핵화 이외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자”고 합의했다.

앞서 임 차관은 스기야마 신스케 일 외무성 사무차관과 회담하고 북핵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외교부는 “두 차관은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협력해 강력한 안보리 추가 제재 채택과 독자제재를 포함한 전방위적인 대북제재 및 압박 조치들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일 외교차관 협의는 올 들어 네번째 열리는 것이다.

임 차관은 “지난해 12·28 한·일 간 위안부 합의에 따라 화해·치유 재단이 출범해 개별 피해자 대상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며 관련 상황을 설명했다. 스기야마 차관도 합의 이행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이 자리에서 일본 측은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한다. 일 측은 9월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과 뉴욕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도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문제를 먼저 꺼낸 바 있다. 정부는 “국회와 국민의 이해와 협조를 충분히 확보해 나가는 게 우선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