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하자마자 727명 식중독 증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폭염이 계속되면서 개학 후 초·중·고교 급식에서 식중독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3일까지 전국에서 식중독 발생 건수는 5건(9개교)이며 727명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서울·부산·대구·경북 중·고 9곳
교사·학생 복통·설사…급식 중단
정부, 학교급식 비리 677건 적발
3000개교 영양사, 16억대 금품 받아

서울 은평구의 중·고교 5곳의 교사·학생 등 510명은 지난 19일 급식 이후 복통·설사 등을 겪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일부 학생은 20, 21일 열이 38도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경북 봉화군에선 중·고교 2곳의 109명에게서 식중독 증세가 나타나 급식이 중단됐다. 부산의 한 여고에선 38명의 학생이, 대구의 한 고교에선 교사·학생 70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 식약처는 “폭염으로 조리실 기온이 급격히 올라간 데다 야간에도 열대야로 온도가 내려가지 않아 세균 증식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폭염이 계속되면 식중독 원인균인 살모넬라와 대장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이에 따라 교육부와 식약처는 8월 중 전국의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위생안전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식약처는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면 4시간 이내에 원인체를 밝히는 신속검사체계를 가동한다. 전국의 식재료 납품현황을 참고해 식중독 발생 학교와 똑같은 식재료가 사용된 곳에 통보하는 등 조기경보 시스템도 운영한다.

기사 이미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법질서·안전관계장관회의에서 황교안 총리(오른쪽)가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합동점검단은 식재료 위생 관리 부실, 학교·업체 간 유착 등 677건의 비리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학교별 급식 운영 실태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

한편 이날 국무조정실·교육부·농림축산식품부·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합동점검단은 지난 4월부터 학교급식 식재료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을 점검한 결과를 발표했다. 위반이 의심되는 업체 2415곳과 초·중·고 274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총 677건의 위반 사실을 적발했다. 일반 농·축산물을 친환경, 무항생제 제품으로 속인 품질 위반이 118건이었다. 이 밖에 식재료 검수와 위생관리 부실 적발 건수는 119건이었다.

식재료 업체와 학교 간 유착 정황도 이번 점검에서 드러났다. 식재료 제조업체들은 자사 제품을 주문하는 영양교사에게 캐시백 포인트나 상품권 등을 지급했다. 또 일부 업체는 학교의 영양교사들이 자사 제품을 조리한 식단의 사진을 찍어 보내면 선물세트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방진아 국무조정실 정책관리과장은 “4개 식재료 업체가 최근 2년6개월간 학교 3000여 곳의 영양교사에게 16억원 상당의 상품권을 제공한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학교급식 전용사이트’를 열기로 했다. 개별 학교의 만족도 평가 결과와 위생안전점검 조사 자료를 공개한다.

윤석만 기자 s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