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엔화, 불당 백80엔 선서 장기화|GD·IMF회담서 의견 접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워싱턴=장두성 특파원】최근 워싱턴에서는 선진 1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GD)와 IMF(국제통화기금) 잠정위원회 등 국제통화 문제를 토의하기 위한 일련의 회담이 있었다.
이 회의들은 현재의 변동환율제도 자체의 개혁문제는 앞으로 계속 협의키로 일단 미루는 한편 환율정책에 의한 대외균형의 조정기능을 중시한다는 기본노선을 재확인했다. 또 이를 위해 각 국이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다는데 합의했다.
이는 작년9월의 G5회의에서 합의된 사항을 IMF를 통해 공식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에 열린 IMF 잠정위원회는 G5의 합의와 진전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 ▲미국의 재정적자 삭감노력 강화 ▲주요 통화간의 환율조정 ▲금리인하 ▲인플레진정 ▲원유 가의 하락 등 큰 변화가 이뤄졌으며 이 같은 변화는 지속적인 경제성장 전망을 한층 밝게 해주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주목되고 있는 엔화의 대 달러가치에 대한 공식적인 시사는 없었지만 대체적으로 현 수준 보다 다소 높아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일본산업계는 1달러=1백80엔 전후의 현재 수준이 높은 것으로 엔화를 약세로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제적인 여론은 이 같은 엔화의 약세유도를 거부하고 있다.
따라서 엔화시세는 장기적으로 달러 당 1백80엔 수준에서 정착될 기미가 농후하다.
IMF잠정위원회는『환율의 대폭적인 변동이나 장기적인 불균형은 계속 주목대상이 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환율의 움직임을 감시하겠다는 자세를 보여줬다.
이것은 공식적인 표현이고 각 국의 개별적 반응은 엔화가치는 더 올라가야 한다는 것이다.
영국의「로슨」재무장관은『만약 주요국의 각료들이 통화에 대해 투표를 한다면 엔고가 한층 더 이뤄져야 한다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말했고 서독도『같은 무역 흑자 국이라 해도 그 규모는 일본 쪽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고 지적했다.
결국 국제적인 여론은 엔화가치는 최소한 현재수준(1달러=1백80엔), 가능하면 보다 높은 수준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 쪽도 전혀 줄지 않는 대일 무역적자 감소를 위해서는 엔화가치가 더욱 올라가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올 11월에 중간선거, 2년 후 대통령선거를 치르게 돼 있는「레이건」행정부로서는 무역적자 감소를 위한 엔 강세기조의 유지, 또는 강화를 계속 요구 할 것으로 보인다.
환율조정에서 제1의 표적이 되고 있는 일본 내에서는 어차피 엔 강세가 장기적으로 정착될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전제로 한 기업의 대응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고 있다.
특히 환율기능을 중시한다는 정책이 적정수준의 환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키겠다는 「장기정책」이기 때문에 대응방법도 일시적이 아닌 장기적인 구조변화가 요구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엔화강세의 장기화는 대일 교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도 이를 전제로 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 누차 지적되어 온 것처럼 대일 무역적자의 주 요인이 되었던 기계류 및 부품·소재 류의 국산화가 급선무다.
엔화가 현 수준에서 정착된다 할 경우 대일 수입물가 부담은 6개월 전에 비해 25%이상 높아진 것이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없어 국산화하지 못했던 기계·부품·소재 류 중 많은 부문의 국산화가 가능케 된다.
또 환율이 불안정하게 오르내릴 경우 이로 인한 불안 때문에 투자를 망설였던 경우라면 일단 엔 강세가 최소한 현재수준에서 장기정착 될 것이 거의 확실한 현 상황에서는 보다 과감한 투자에 의한 국산대체를 해 나가는 일이 시급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