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SNS에 휘둘리면 중도층 외면받게 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2010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2011년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때 맹위를 떨쳤다. 진보정당의 정책이었던 ‘무상급식’이라는 이슈가 SNS를 통해 선거의 메인 어젠다로 자리 잡았고, 6·4 지방선거 당일엔 SNS를 통해 야당 지지층의 사발통문이 돌면서 오후부터 투표율이 확 올라갔다. 박원순 후보는 재·보선에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SNS로 확산시켜 선거자금 모금에 성공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전신)이 2012년 총선 때 ‘나꼼수’ 멤버 김용민 후보를 공천했다가 낭패를 본 적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SNS 여론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전문가 “꼬리가 몸통 흔드는 왜곡”

미국의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는 2013년 “SNS에선 ‘침묵의 나선효과’가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침묵의 나선효과는 특정한 의견이 다수에게 인정되면 반대 의견을 가진 소수는 고립에 대한 공포로 인해 침묵하려 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 기관은 당시 미국에서 논란이 됐던 에드워드 스노든의 국가안보국(NSA)의 불법 사찰 폭로와 관련해 성인 1801명을 설문조사 한 결과 SNS상의 여론은 이처럼 왜곡돼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SNS는 국민 여론이 아니라 소수 의견의 확성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늘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상준(정치학) 단국대 교수도 “정치가 SNS에 휘둘리는 게 전형적인 ‘왜그더도그’ 현상”이라며 “SNS상의 목소리에 휘둘리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도층을 스스로 배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규섭(언론정보학) 서울대 교수는 “SNS는 여야의 전통적 지지자들을 결집하는 데는 효과적일지 몰라도 대선처럼 전체 국민을 상대로 한 대결에선 SNS 여론에 따랐던 편향성이 발목을 잡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