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붕괴 대비…한·미·중 협의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사 이미지

웬디 셔먼(사진) 전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은 “북한이 내부 붕괴 또는 쿠데타 상황을 맞을 가능성을 상정해 한국과 미국·중국·일본이 조속히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외교 자문 셔먼 주장

셔먼 전 차관은 3일(현지시간) 중앙일보와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워싱턴 CSIS에서 개최한 ‘중앙일보-CSIS 포럼 2016’ 오찬 연설에서 “중국은 한반도의 현상 유지를 원하고 있지만 한반도의 현 체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만큼 예측하지 못한 급변 사태와 쿠데타까지 생각하는 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중국이 한국·일본과 함께 솔직한 논의를 해야 보다 많은 부분에서 합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셔먼 전 차관은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실시 되는 힐러리 클린턴 캠프에서 외교 자문을 맡고 있다. 클린턴이 대선에서 승리하면 미국의 외교정책 입안에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기사
① 서훈 “비핵화 땐 경제지원 제안, 북한이 못 받아들일 것”
② 그린 “한·중 관계 강화와 한·미 우호는 병행 가능”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는 대북정책조정관을 맡아 북한 핵 협상을 주도했으며 2000년 강석주 북한 외무성 부상과 함께 ‘북·미 공동 코뮈니케’를 만들었다. 셔먼 전 차관의 북한 쿠데타 언급은 클린턴이 집권할 경우 핵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해 북한을 상대로 더욱 강력한 압박에 나설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셔먼 전 차관은 “북한 정권이 붕괴됐을 때 한국·미국·중국 군은 어떻게 단계적으로 행동할지, 각국 군 사이의 갈등과 충돌은 어떻게 방지할지, 북한의 핵물질·핵무기를 어떻게 처리할지, 북·중 국경 문제는 어떻게 할지, 한반도 정권은 연방제인지 단독 정부인지 등은 모든 당사국이 생각할 문제”라고 예시했다.

◆특별취재팀=김현기·채병건 워싱턴특파원, 안착히·유지혜·서유진 기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