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문재인, 변화 잘 읽어야…안철수, 정치 쉽게 생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기사 이미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대선후보가 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어떤 목표를 갖고 당에 온 사람이 아니다”고 답했다. 왼쪽부터 정운갑 MBN 보도국 부국장, 박찬수 한겨레 논설위원, 김 대표, 이강덕 관훈클럽 총무. [사진 오종택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가 차기 대선주자들을 일일이 평했다.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다. 김 대표는 문재인 전 대표의 장·단점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사람이 굉장히 정직하시고 절제가 있는 분”이라고 말했다. 그런 뒤 “변호사이니 법률 지식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 사회의 변화를 제대로 읽고 그 변화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를 준비를 쭉 할 거 같으면, 뭐 대통령 후보로 나가는 데 별 결함이 없겠다”고 말했다.

“박원순, 세계화 측면 사고 넓히고
반기문은 빨리 국내 실상 익혀야 ”

박원순 서울시장에 대해서도 “(문 전 대표와) 비슷하지 않겠느냐”며 “변호사 출신으로 시민운동도 해봤고 하니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정확히 인식을 갖고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장을 두 번이나 역임하면서 행정에 대해서도 비교적 많은 것을 숙달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세계화되는 측면을 보완하고 가면 그분도 적당한 후보는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와 관련해선 여전히 짜게 평가하면서도 덕담으로 마무리했다. 그는 “안철수 의원 같은 경우는 정치를 너무 쉽게 생각하지 않느냐는 느낌을 받고 있다. 정치적으로 보다 성숙이 되면 대통령이 돼도 괜찮지 않느냐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서는 “직업 외교관으로서 유엔 사무총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력은 화려하게 보일 수 있지만, 진짜 대통령 후보가 되겠다고 생각을 하시면 국내에 빨리 들어와서 국내 실상을 익히지 않고는…. 대통령이 돼서도 정당의 생리도 알지 못하고, 정당을 끌고 갈 수 있는 이런 저런 능력 면에서 봤을 때 유엔 사무총장 임기를 다 마치고 대통령이 돼야 되겠다고 하면 좀 무리가 따르지 않겠나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손학규 전 새정치민주연합(더민주 전신) 고문이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에 대해선 “할 말이 없다”고 넘어갔다.


▶관련기사 김종인 “문재인 조급해하면 안철수처럼 돼”



본인이 대선후보가 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엔 “어떤 목표를 갖고 당에 온 사람이 아니다. 그런 질문에 답을 꼭 해야 하는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잘랐다. “킹메이커를 할 거냐”는 물음엔 “킹메이커는 지난 대선을 끝으로 더 이상 안 한다고 결심했다”고 밝혔다.

◆더민주, 12곳 경선 결과 발표=더불어민주당 추미애(서울 광진을), 이석현(안양 동안갑), 홍익표(서울 중-성동갑), 도종환(청주 흥덕) 의원이 4·13 총선 후보로 확정됐다. 서울 은평을 경선에서는 임종석 전 의원이 탈락하고 강병원 전 노무현 정부 청와대 행정관이 공천됐다. 더민주는 16일 지역구 12곳의 경선 결과를 발표했다.

기사 이미지

현역 의원 중에선 전북 완주-진안-무주-장수에서 결선투표를 치른 박민수 의원이 안호영 변호사에게 져 탈락했다. 서울 서대문을에 도전했던 이강래 전 의원도 김영호 지역위원장에게 고배를 마셨다.

한편 공천에서 탈락한 정청래(서울 마포을) 의원은 이날 "당을 떠나지 않겠다”며 컷오프 결정을 수용한다는 뜻을 밝혔다.

글=김성탁·안효성 기자 sunty@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