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수하물 대란’원인은 초기대응 미숙

중앙일보

입력

지난 3일 발생한 인천공항 수하물 대란의 원인은 모터제어장치 고장을 조기에 처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 직원 등 총 20명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지난 1월 5일부터 11일까지 수하물 처리 지연 원인을 분석한 결과다.

합동조사단이 총 28개소의 CCTV와 오류분석 기록 로그파일 조사, 주요 오류발생 지점 현장 점검 및 관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최초 장애는 3일 오전 7시 52분 탑승동에서 여객터미널로 향하는 터널의 수하물 고속 운송라인(A지점)에서 모터제어장치에 오류가 발생, 30분간 운행이 정체되면서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수하물처리시스템 운영센터 담당자는 최초 주의 메시지를 인지한 후 센터에서 원격으로 모터 제어장치를 재구동시키기 위한 리셋조치를 하였지만 실제 로그파일을 확인한 결과 사고 초기에 리셋조치가 되지 않았고, 현장근무자도 장애발생지점에 투입되지 않았다.

그 여파로 수하물 운반용 트레이가 탑승동 동측 순환벨트에서 정체되면서 탑승동 메인루프(수하물 순환벨트)의 수하물들이 지상조업 수취대 투하지점으로 접근하지 못해 탑승동 동측 뿐 아니라 여객터미널 동측까지 연쇄적으로 수하물이 적체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센터에서는 투하장치를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하고 탑승동 메인루프 수하물을 수취대로 강제 투하하는 비상조치를 취했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은 것도 밝혀졌다.

합동조사단은 수하물처리시설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처리 미흡, 현장 근무자에 대한 관리감독 및 업무처리 소홀, 비정상상황 해소를 위한 상황판단 실수 등 여러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사소한 오류가 대규모 사고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기사 이미지

지난 3일 오전부터 발생한 수하물 처리 지연 사태는 4일 오후에야 해결됐다.[사진=신인섭 기자]

또한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런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수하물처리시설 관리운영체계 개선 및 시설보완 등 전반적인 종합보완대책을 마련했다.

상황별 조치, 보고 및 교차 점검 강화를 위해 관리센터 인력을 현 12명에서 16명으로 증원하고 현장 지휘를 위한 팀장급 인력을 현장 관리센터에 상주시키기로 했다. 또 수하물 강제투하 등이 필요한 비상상황에 대비해 예비인력(100명)을 추가 지원하고 교대 근무자(150명) 피크시간대 중첩 근무방안도 마련해 병목·분산 지점 등 즉각적인 수동조치가 필요한 지점에 감시 및 관리 인력을 상시 배치하여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월 설연휴 대비 사고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관계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1월내에 모든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함종선 기자 jsh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