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미국 기준금리 인상론 폐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6월 미국 기준금리 인상론이 사실상 폐기됐다.

20일(현지시간) 공개된 4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확인된 내용이다. 회의에서 다수는 “6월에 확보가능한 경제지표들은 연방기금 금리를 올릴 여건이 충족됐다는 확신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그 반대편인 ‘6월 금리 인상파’는 소수였다. 회의결과에 대한 투표는 만장일치였다.

3월만 해도 FOMC는 사분오열됐다. 6월 금리 인상파가 만만찮았다. 그러나 부진한 경제 상황이 불협화음을 정리하는 역할을 했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연율, 잠정치) 0.2%가 상징적이다. 강추위나 서부 항만의 노사분규를 감안해도 실망스러운 수치였다. 시카고 거주 이코노미스트인 린지 피그자는 블룸버그통신에 “FOMC는 금리를 올리고 싶어한다. 그러나 지표가 너무 약하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미국의 금리인상 시계침이 9월, 혹은 그 이후로 이동했다고 본다. 블룸버그 조사에서 61개 금융기관 중 50개가 9월 인상에 베팅을 걸고 있다. 골드만삭스, JP모건, 웰스파고 등 쟁쟁한 회사들이여기에 합류하고 있다.

회의록에서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 있다.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 강달러와 저유가에 대한 FOMC의 판단이다. 그동안은 둘의 영향이 일시적이라고 봤다. 그러나 이번엔 “종전 예상보다 더 크고, 오래갈 수 있다”는 표현이 등장했다. 이렇게 되면 연초에 그렸던 장밋빛 전망은 차질이 불가피하다. 시장엔 낙관론을 흔드는 지표 출현이 빈번해지고 있다. 4월 산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0.3% 감소했고, 소매판매는 3월 수준에서 변화가 없었다. 물론 고용은 개선되고 있다. 실업률이 5.4%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소비와 생산 증가로 연결되지 않는 고용 호조는 의미가 평가절하될 수밖에 없다. 특히 FOMC는 저유가가 소비 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것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기름값을 아끼게 됐으니 소비가 늘 것이란 예상이 틀렸기 때문이다. 미국 소비자들의 지갑 사정이 그만큼 여유롭지 않다는 방증이 될 수 있다.

FOMC가 달러 강세를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로 "주요 유럽 국가들에서 번지는 마이너스 국채 금리"를 지목한 것도 예사롭지 않다. 유럽의 양적완화가 강달러를 초래한다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이에 맞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면 FOMC의 금리 인상 시기는 뒤로 더 밀릴 수 있다.

뉴욕=이상렬 특파원 i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