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발라드·힙합 … 리메이크 '독립군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가세." '독립군가'로 일제 치하에서 1910년대 독립군이 불렀고, 해외에서도 널리 불렸던 대표적인 군가다. 1920년 9월 10~12일 중국 만주 허룽헌 등에서 5만 명의 일본군을 대파한 청산리전투에서도 이 노래가 불렸다.

크라잉 넛 - 독립군가 들어보기

미국 헨리 워크가 작곡한 '조지아 마치'의 선율을 차용한 것으로 조국 독립에 몸을 던진 젊은이의 굴하지 않는 필승의 신념을 다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광복 60주년을 맞아 9일 독립군(1919~25년)과 광복군(1941~45년)이 얼과 혼을 담아 애창했던 군가 13곡을 신세대에 맞게 편곡해 '다시 부르는 노래'란 제목으로 CD 앨범을 내놓았다. 보훈처는 이 곡들의 특성에 맞춰 락.솔.발라드.힙합.팝페라.퓨전국악 등으로 편곡했다. 노래는 크라잉 넛(독립군가), 김장훈(애국가), 안치환과 자유(국기가), 서문탁(압록강 행진곡) 등 유명 가수들이 참여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