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처분한다고? 그럼 은행에 가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J사장은 지난해부터 내수침체로 회사가 어려워지자 빚을 갚기 위해 공장 매각을 추진했다. 하지만 공장터가 작지 않아 부동산 중개업소에 의뢰해선 쉽게 팔리지 않았다. 올해 초 거래은행인 우리은행에 기업 관련 부동산 매매를 알선해 주는 '우리은행 복덕방'이 있다는 얘기를 들은 J사장은 매물 등록을 신청하고 두어 달 만인 지난달 매입자를 만나 88억원에 공장을 팔 수 있었다.

기업 경영권이나 공장.건물 등 관련 부동산의 매매를 중개하는 금융권의 '기업 복덕방'이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5월 부동산 매각을 통한 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을 돕기 위해 '우리은행 복덕방'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여 만에 33건 551억3500만원의 거래를 성사시켰다고 15일 밝혔다. 우리은행 홈페이지(www.wooribank.com)의 재테크→부동산정보 코너에 개설돼 있는 이 서비스는 무료로 운영된다. 일반 부동산 정보사이트는 보통 11만원의 등록비를 받는다. 고객이 영업점에서 신청하면 본점 중소기업전략팀에서 사이트에 자료를 등록해 준다. 은행의 방대한 네트워크를 이용해 다수의 매입 희망자를 찾을 수 있고 시세와 비슷한 값을 받을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인기를 끄는 이유라는 게 은행 측의 설명이다.

기술신용보증기금이 지난해 2월 시작한 '인수합병(M&A) 기술거래 정보망(http://mna.kibo.co.kr)' 서비스도 지난해 10건, 올 들어 6건 등 모두 16건의 인수.합병을 성사시켰다. 거래금액이 지난해 300억원, 올해 32억원에 이른다.

기보의 서비스는 경영권을 포함해 회사 전체를 넘기는 경우는 물론 공장 매각, 영업권 양수도, 일부 사업부문 인수 등 다양한 거래를 중개하고 있다. 주고객은 내수 침체나 경영환경 변화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중소기업들이다. 기보는 분야와 규모가 제각각이라 값을 매기기 힘든 매물들을 평가한 뒤 적정가격을 제시해 매매에 도움을 주고 있다. 구조조정 자금 보증이나 기술이전 보증 등을 통한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다른 기업매매서비스에선 찾을 수 없는 이점이다.

기보 관계자는 "정보기술(IT) 등 벤처기업이 대부분이지만 섬유업종 등 굴뚝산업의 거래도 활발하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1월 은행권에서 처음으로 '기업 복덕방'을 개설해 인수합병을 알선하고 있다. 매물 알선 등 중개업무는 물론 컨설팅과 금융 지원 등 토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식품.공조.정보기술업체 등 10여 건의 계약을 추진하고 있고 20여 건은 상담 단계다.

은행 홈페이지(www.hanabank.com)의 안내문에 따라 경영컨설팅팀에 문의하면 신청할 수 있다.

나현철.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