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열쇠는 대북 체제 보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미국이 북한 핵시설을 정밀 폭격하는 제한적 군사조치를 해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이를 정권교체를 겨냥한 전면전으로 인식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미국의 냉전시대 역사 전문가들이 주장했다. 이들은 또 "북한의 체제 불안감이 핵개발의 핵심 동기"라며 "북핵 문제의 열쇠는 미국의 대북 체제 보장에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 국제냉전사프로젝트(CWIHP)의 한반도 책임자 캐서린 웨더스비와 로버트 리트웍 연구원은 옛 소련과 동독 등에서 입수한 각종 외교문서를 근거로 북한의 핵개발 요인을 분석, 12일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했다.

외교문서에 따르면 김일성은 1963년만 해도 평양 주재 소련 대사에게 "북한이 산악 국가임을 감안할 때 우리를 핵무기로 파괴하려면 다량의 원폭이 필요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86년 10월 에리히 호네커 전 동독 공산당 서기장과의 회담에선 "주한미군이 보유한 핵무기 1000개 중 2개만으로도 북한을 충분히 파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세적 입장을 보였다.

CWIHP가 입수한 외교문서에는 북한이 63년 동독 대사에게 "핵무기와 관련된 어떤 기술이든 전수해 줄 것"을 요청한 내용도 들어 있다. 76년에는 소련이 북한의 핵개발 기술 제공을 거부하자 북한의 부총리급 인사가 크렘린을 겨냥해 "최전선 국가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며 화를 내기도 했다. 또 북한이 소련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해 달라고 끈질기게 졸랐으나 모스크바는 북한의 핵개발을 우려해 오히려 북한에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을 권유한 사실도 포함돼 있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