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핸드볼 예선 다녀온 김종하|한국 핸드볼 활성화 붐 조성|2∼3년내에 일본 꺾을 자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세계 선수권 대회 진출 티켓을 따오지 못해 죄송스럽습니다. 하지만 아시아경기대회 (82년 11월·인도)와 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아시아 예선전에선 좋은 성적을 얻을 자신감을 갖게 됐습니다.
제 10회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아시아 B조예선전(일본동경)에서 일본에 분패, 티켓을 놓치고 18일 귀국한 김종하 핸드볼협회장(56·고려합섬사장)은 자못 외면 당하다시피 한 비 인기종목의 회장답지 않게 기염을 토하고 있다.
『어느 구기 종목보다 핸드볼이 올림픽에서 메달 획득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 나라 여자대표팀이 비록 참가하지는 못했지만 6강이 겨루는 모스크바 올림픽 본선 진출 권을 따 내지 않았습니까. 또 이번 예선전에서 우리 남자 선수들이 비록 노련한 일본의 페이스에 말려 세계 선수권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지만 중공을 또 다시 꺾음으로써 2∼3년 안에 일본을 꺾고 아시아 점상에 오를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핸드볼 선수로 활약했었던 김 회장은 앞으로 한국이 견재 해야할 상대는 일본이 아니라 오히려 중공이라고 강조한다.
중공은 한국과 같은 20세 전후의 신인들로 구성, 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아시아 경기 대회에 대비한 반면 일본은 평균연령이 26세로 곧 세대교체가 불가피 하다는 것이다.
또 중공의 이 대위 단장도 구기종목에서 세계 무대에 진출하는데 꼭 한국의 벽에 부닥친다면서 최근 배구의 연패와 여자 농구의 예를 들면서 일본보다 한국을 더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김 회장은『내년에는 1천만원 정도를 출전 보조비로 지급, 국민 학교대회를 활성화하고 대통령하사기 대회도 신실, 핸드볼 붐 조성의 밑거름이 되도록 할 방침』이라면서 『군 팀과 실업팀 용 관계기관과 협조, 창설로 특히 선수 육성의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전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