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장치선의 2030건강남녀<32>] 다이어트에 대한 오해? 바보 다이어트 따로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피서철이 다가오면서 몸매 관리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비키니와 핫팬츠로는 가려지지 않는 군살 때문에 단기 다이어트에 돌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는 ‘바보 다이어트’가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잘못된 다이어트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 News1

<뱃살을 빼기 위해서는 윗몸일으키기나 훌라후프보다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한다.(사진="픽사베이)">

◆ 윗몸일으키기, 훌라후프를 하면 뱃살이 빠진다? NO
윗몸일으키기는 근력 운동으로 전체적인 칼로리를 소모하는 운동이 아닙니다. 즉 배 근육이 땅땅해지는 것이지 뱃살이 빠지는 것이 아닙니다.

땀이 날 정도로 유산소 운동을 20분 이상 지속해야 지방이 연소됩니다. 하지만 윗몸일으키기를 꾸준히 하면 몸 전체의 지방이 적어질 수는 있습니다.

잘못된 방법으로 하면 오히려 허리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훌라후프는 땀이 나는 유산소 운동도 아니고 근력 운동도 아닙니다. 다만 배에 있는 셀룰라이트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긴 합니다.

◆ 채소와 과일 샐러드만 먹으면 살이 빠진다? NO

채소나 과일은 기름기가 없고 부피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고 여기기 쉽습니다.

그러나 채소나 과일에는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는 풍부하지만 칼로리가 적기 때문에 영양결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채소나 과일을 먹을 때 뿌리는 드레싱에 지방이나 칼로리가 많다는 겁니다.

저녁에 과일을 먹는 습관도 다이어트의 적입니다. 과일에 함유돼 있는 당 성분에 의해 인슐린이 혈액 내에 증가하게 되고 인슐린은 탄수화물을 지방으로 만들어 몸에 축적해 살이 찝니다.

◆ 원푸드 다이어트로 효과를 봤다? NO
한 가지 식품이나 성분만 먹게 되면 체중 감소의 효과는 나타날 수 있지만 한 가지 식품의 효과 때문이 아닙니다. 전체적인 열량 섭취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영양소의 불균형을 초래해 건강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도 탄력을 잃고 탈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시 원래의 식사로 돌아가면 체중이 불어나게 됩니다.

단기간에 살을 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전체적인 영양부족의 상태를 초래해 올바른 체중 감량에는 실패하고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 간식은 별로 살이 안 찐다? NO
다이어트를 할 때는 당연히 간식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저열량 감량 식사를 하게 되면 전반적으로 비타민, 무기질 등 필수영양소가 부족하기 마련인데 하루 한 두 번 양질의 부족분을 채워줄 간식을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식은 아침과 점심, 저녁식사 사이에 오전, 오후에 두 번 정도 먹는 게 좋습니다. 4시간 이상 공복을 만들지 않도록 합니다. 아침과 점심 간격이 짧으면 아침 간식은 생략해도 됩니다.

간식으로는 음료 대신 허브티나 물, 저지방 우유, 삶은 달걀, 토마토, 오이, 치즈, 두유, 사과 한 쪽, 오이와 키위 반 개, 바나나 반 개 정도가 좋습니다.

◆ 비만약을 먹으면 살이 잘 빠진다? NO

비만약을 먹으면 살이 빠지는 건 사실입니다. 운동과 식사 조절을 잘하는데도 비만 환자가 뱃살이 빠지지 않는다면 약물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동과 식이요법을 꾸준히 한다는 전제하에서입니다. 대부분 비만약은 식욕억제제 계열입니다. 노력 없이 식욕억제제 효과만 얻고자 한다면 약을 복용하는 동안에는 잘 안 먹게 돼 체중이 빠집니다.

약을 끊으면 다시 살이 찌게 되는데 문제는 살을 뺄 때는 근육이 빠지고 나서 다시 살이 찔 때는 지방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더욱 강한 식욕억제제를 원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식욕억제제는 내성이 생깁니다.

단기간 허가가 난 약제는 펜터민과 펜디 메트라진이 있는데 꼭 필요한 사람에 한해 복용해야 합니다.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해 6개월간 치료를 해도 체중 감량 효과가 10% 이하이거나 일주일에 0.5kg 이상 줄지 않을 경우 처방을 고려해야 합니다.

식약청으로부터 장기간 복용이 허가된 비만약제로는 시부트라민과 올리스타트가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