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피아 드러났다" 야당 국정조사 공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1일 정홍원 총리가 진도체육관을 방문해 실종자 가족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고 있다. [프리랜서 오종찬]

새정치민주연합이 1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정권 책임론을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나섰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국민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동시에 국회 국정조사 카드도 꺼내 들었다. 그동안 실종자 구조작업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자제해 왔던 공세 수위를 높이기 시작했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의원총회에서 “국무회의에서 사과를 했지만 지금 박 대통령은 국민의 분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책임을 묻겠다고 할 게 아니고 ‘내 책임이다’ ‘바꾸겠다’가 아니고 ‘나부터 바뀌겠다’고 약속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과 정부에 진상 규명을 맡겨 둘 수 없다. 우리가 당의 명운을 걸고 세월호 참사의 원인부터 구조 과정에 이르기까지 진상과 책임을 철저하게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한길 대표도 “세월호 침몰 정황이 드러날수록 분노를 억누르기 쉽지 않다”며 “올해 국회는 상시국회·비상국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국정조사는 불가피한 사항이 됐다”며 “이번 참사에서 관료사회의 문제점, 국가 시스템을 장악한 ‘관피아’들이 얼마나 국민에게 해악을 끼쳐 왔는지 여실히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간 ‘반성 모드’를 유지했던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공개적으로 현 정부 책임을 거론하고 나선 것은 세월호 구조 실패에 대한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야당도 할 말은 해서 존재감을 보여 줘야 한다”는 정면 대응론이 초선과 강경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나온 것도 지도부의 방향 전환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은 참사를 수습하는 와중에 정쟁을 유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박대출 대변인은 “온 국민을 비탄에 빠뜨리고 있는 대형 참사를 앞에 두고 국민을 하나로 모으려 노력해도 모자랄 판에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는 작금의 현실이 서글프기 그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내부적으론 사과 문제에 관한 한 박 대통령의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철우 의원은 “박 대통령은 유족들이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사과하고 또 사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사고현장을 직접 방문해 위로도 했지만 유족들과 국민이 아직 진정성이 없다고 한다면 계속 사과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윤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