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추억] 한·미·일 공조 포괄적 대북 접근 기틀 다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장관을 역임한 홍순영(사진) 전 장관이 30일 별세했다. 77세.

 1961년 고시 13회로 외교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고인은 북미과장과 주유엔대표부 참사관, 주러시아 대사, 주독일 대사, 주중 대사 등을 두루 거쳤다. 제2차관보 시절인 89년에는 북방외교의 실무 주역을 맡았다. 외무부 최고 실무책임자로서 불가리아·폴란드 등과의 수교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공 시절 청와대 정무비서관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전임자 때부터 추진됐던 아·태정상회의가 실현가능성이 작다고 주장해 결국 정부가 추진을 중단하게 만든 일화도 있다. 83년 아웅산 폭탄테러 사건 발생 뒤에는 북한의 공작 가능성에 주목, 초동단계 대응 방향을 잡는 데 중점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98년 외교통상부 장관에 취임한 홍 전 장관은 한·미·일 3국 공조를 기반으로 한 포괄적 대북 접근의 기틀을 다졌다. 특히 장관 재임 기간 중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교부장을 한국으로 초청해 함께 온천욕을 즐기며 한반도 정세와 현안을 논의한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온천 외교’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고인은 2001년 9월엔 통일부 장관에 임명됐다. 하지만 같은해 11월 금강산에서 열릴 예정이던 6차 장관급 회담의 결렬 책임을 지고 임명 4개월 만에 물러났다.

 유족으로는 부인 장동연씨와 아들 준표(울산대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교수)·지표(청와대 행정관)씨 등이 있다. 장례는 외교부장(葬)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 3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3일 오전 7시, 장지는 충북 제천의 선영이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