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소관계 따라 정보 편중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27일 공보관회의는 국정홍보처가 미리 준비한 '취재시스템 개선안'을 나눠주는 것으로 시작됐다. 조영동 홍보처장은 "(이창동 장관이 최근 제시한)문화부안이 기본"이라고 제시했다.

그래서 회의는 토론이 아닌 질의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당초 '각 부처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회의'라던 취지와는 달라진 것이다.

한 참석자는 "국정홍보처가 일방적으로 지침을 하달하는 모습이었다"며 "제대로 토론을 할 분위기가 전혀 아니었으며, 의문사항에 대해 홍보처가 대답하는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회의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한 공보관이 초미의 관심사인 사무실 방문취재 허용 여부를 묻자 趙처장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고 대답했다. 당장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하는 공보관들의 발언이 이어졌다.

"민간기업들처럼 출입카드를 만들든지 해야지 기자들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니냐" "과천청사의 경우 브리핑룸을 방문동에 설치해야지, 같은 건물에 브리핑룸을 두면서 어떻게 기자들의 방문을 막을 수 있겠는가"라는 등의 내용이었다.

정보의 음성적 거래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한 공보관은 "사무실 출입을 제한하면 평소 친소관계가 있는 특정매체에 정보가 집중돼 본래의 취지가 퇴색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자단이 없어지면 엠바고도 사실상 없어져 정부 입장에서는 애로사항이 적지 않다" "브리핑룸을 확보하려면 예산이 확보돼야 한다. 굳이 현행 부스를 뜯어내야 하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국정홍보처는 "뉴스 브리핑제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금지는 동전의 양면"이라며 "무조건 실시한다. 그래야 기득권이 없어진다"고 답했다.

이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