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증가 못 따르는 주차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주차장시설이 차량증가를 따르지 못해 무단주차 및 노숙차량이 늘어나 도심지의 교통체증을 가중시키고 있다.
23일 경찰조사에 다르면 73년 말 현재 서울시의 차량수는 총7만8천여대로 지난 63년(2만6백여대)을 기준, 매년 21·3%씩 증가하고 있으나 주차시설(73년 말 현재)은 공영 1백6곳(2만8천평방m)을 비롯, 사설 3백5곳(5만평방m)고층건물 옥내시설 45곳(1만6백평방m)으로 총 차량수용능력은 2만9천여대로 전체차량의 26%만을 주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공서를 비롯 회사·집회장·전시장·백화점·병원·각종 유흥음식점 등이 밀집해 들어선 중구충무로 일대와 종로 및 광화문일대, 고속「버스·터미널」입구 등 도심지 도로변과 뒷골목에까지 각종 차량들이 무단 주차해 차량소통이 막히는 등 교통혼잡을 빚고 있다.
특히 극장·「호텔」·「카바레」가 몰려있는 명동·소공동·무교동 등 번화가에는 밤마다 관람객과 취객을 기다리는 자가용 승용차들이 버젓이 늘어서 교통체증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
경찰에 다르면 시내에서 무단 주차하는 차량대수는 1일 1만9천9백여대로 이중 90%가 승용차이며 「택시」는 운행대수 1만8백여대 중 10%인 1천1백여대가 불법 주차하고 있다는 것.
경찰은 이 같은 불법주차 때문에 ▲간선도로·골목길·일반통행구역·시장주변도로 등의 거리질서가 깨지고 ▲차량소통이 늦어져 교통체증을 일으키고 ▲불법주차단속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주차장 부족으로 노숙차량이 늘어나 이 때문에 차량도난이 많아지고 강력범사건의 「스피드」화에 이용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경찰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주차시설이 늘어날 때까지 ▲교통소통에 현저한 지장이 없는 도로변(고궁·시장주변)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재량권을 교통경찰관에게 주는 한편 ▲도심지 기존고층건물의 주차장 시설의 확장과 주차시설이 없는 건물의 지하층 및 1층을 주차장으로 사용토록 용도변경을 추진해야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