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평화·후통일」 정책 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정희 대통령은 『오늘의 이 상황은 「준 전시 상태」가 아니라 전쟁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우리는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야만적인 도전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결단코 분쇄하고야 말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16일 상오 74년도 국방대학원 졸업식 및 제22기 합동참모대학 졸업식에 참석, 유시를 통해 『북한 공산주의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소위 「4대 군사 노선」이란 것을 표방하고 전쟁 준비에 혈안이 되어 또다시 6·25와 같은 기습적인 전면 남침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무모하고 광적인 만행은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며 끝내 좌절되고야 말 것』이라고 말하고 『그들이 오산을 하여 또 다시 민족사에 큰 과오를 범한다면 그들 스스로 멸망을 자초하는 결과가 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또 『당면한 우리의 통일 정책은 통일에 대한 모든 여건이 성숙될 때까지는 남북이 평화공존을 하자는 「선평화, 후통일」정책』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무슨 궤변을 쓰든 우리가 주장하는 통일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하고 『평화 정착이 통일의 절대적인 선행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 유시 요지>
북한 공산주의자들은 말로는 민족을 내세우면서도 일찌기 우리 선조들이 수많은 국난 극복의 역점에서 오직 피땀으로 지키고 가꾸어 온 우리의 역사와 전통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민족의 동질성까지도 스스로 파괴하고 있읍니다.
그들은 오직 계급투쟁의 입장에서 우리의 민족사를 왜곡·날조하는가 하면 이질적이고도 폭력적인 공산 혁명만을 위해 광분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조국과 민족을 운위할 자격이 없으며 민족사의 정통성은 엄연히 우리에게 있는 것입니다.
국가 안보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 졸업생 여러분들은 비단 우리의 생존과 번영을 지켜야 할 책무만이 아니라 민족사적인 정통성을 수호 발전 시켜야 할 사명도 함께 부여받고 있다는 것을 강조해 두는 바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통일 방안은 어디까지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하자는 것입니다.
비록 통일이 늦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동족끼리 피 흘려 싸우는 전쟁은 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불가침 협정을 체결하자고 했습니다. 서로 무력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을 만천하에 약속하고 서로 상대방의 내정간섭을 하지 말고 휴전협정을 충실히 준수하면서 점진적으로 가능한 분야부터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면서 상호의 불신감을 해소해 나가자 하는 것입니다. 국제사회에 나가서도 서로 상대방을 헐뜯고 비방하는 추태를 부리지 말고 통일이 될 때까지는 국제 기구나 「유엔」에도 같이 가입하는 것이 상호 불필요한 마찰과 낭비를 막는 길이 아니겠느냐 하는 것이 우리의 주장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제창한 남북상호불가침협정과 6·23선언의 기본 정신입니다.
아무리 동족간이라 하더라도 30년 안이나 극한적으로 대립해 온 상태에서 통일을 하자면 여기에는 반드시 이러한 중간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입니다. 당장 하루아침에 일사천리로 다 해결하겠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기 보다는 절대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평화 정착이 통일의 절대적인 선행 조건입니다.
공산주의자들과의 협상이나 흥정에 있어서는 이것은 절대적인 요소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있어서 국력 배양이 문제가 됩니다.
국력 배양을 굳건히 다져 나간다는 것은 통일을 촉진하는 유일한 첩경입니다.
국력 배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국력의 조직화와 능률화가 무엇보다도 급선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우리 모두가 총화 단결하여 10월 유신의 참다운 뜻을 올바로 인식하고 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감으로써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정착시켜 통일 과업을 일보 일보 전진시킬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