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이후 전략] 수능·학생부 부진 중상위권, 적성검사전형에 승부 걸어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유병화
비타에듀고려학력평가연구소
평가이사

많은 수험생들이 수능만 바라보고 지난 시간을 견뎌 왔기에 수능이 끝남과 동시에 대입도 끝난 것 같은 무력감을 느끼기 쉽다. 그러나 수능이 끝났다고 대입이 끝난 것은 아니므로 휴식을 통해 컨디션 조절을 하면서 남아 있는 대입 과정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수능 점수가 기대만 못하면 지망 대학의 수시 모집요강을 다시 보자. 여기에는 이미 지원한 수시1차 논술 전형도 포함된다. 이미 논술을 치른 대학도 있지만 대부분의 주요 대학은 수능 후에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경희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등처럼 수능 끝난 주말에 논술을 치르면 대비책 마련이 쉽지 않지만 고려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과 같이 말미를 주는 대학이라면 남은 기간 집중적으로 준비해 보자.

 또 수능 이후 원서를 접수하는 수시2차 실시 대학도 있으므로 수시 지원 횟수 6회를 소진하지 않았다면 희망을 걸어볼 수 있다. 이중 건국대, 이화여대, 동국대, 광운대, 숙명여대, 성신여대 등은 학생부 100%로 선발하는데,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실질적으로 당락을 좌우하므로 내신이 좀 부족해도 수능최저를 충족할 성적이면 지원해 볼 수 있다.

 강남대, 가천대, 경기대, 단국대(천안) 등은 수시2차에서 적성검사 중심 전형을 실시하는데, 이런 대학들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수능과 학생부 모두 부진한 중상위권 학생이라면 마지막 합격의 불씨를 살린다는 마음으로 지원해보기 바란다.

  수능 가채점 결과가 평소 성적 이상이면 수시1차의 대학별 고사를 포기하고 정시에 올인하는 전략을 활용하자. 한 곳이라도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 지원 기회는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능 이후 각종 입시기관에서 개최하는 입시설명회에 최대한 참가해 정보를 수집해 모집군별 지원 대학을 선정해야 한다. 대학별 배치표는 대략적인 지원선 가늠에는 도움이 되지만, 세부 학과 및 모집단위의 지원 가능 성적을 구체적으로 알기에는 부족하므로 각 대학이나 입시기관의 대입자료와 병행해 봐야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A/B형 수능 시행에 따라 수능 응시 지정 영역과 가산점이 각기 다를 뿐 아니라 대학 및 모집단위에 따라 수능 성적 반영 방법이 달라지므로 지망 대학의 정시 모집요강을 꼼꼼히 살펴보고 지원을 결정해야 한다. 교대나 사대, 의대 등의 정시모집에서는 인·적성 면접이 전형요소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데, 면접 대비 연습을 충분히 해두는 것이 좋다.

 참고로 수시의 경우 3학년 1학기까지의 학생부 성적만 반영하지만 정시에서는 3학년 2학기까지 반영하므로 소신 또는 상향 지원한 수험생일수록 기말고사에도 성실히 임해야 한다.

유병화 비타에듀고려학력평가연구소 평가이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