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일자리' 1000개 신설 … 삼성전자서비스 상생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협력업체 직원들과 불법 파견 논란을 빚었던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사와의 상생 강화에 나선다.

 삼성전자서비스는 협력사 직원들의 근무 여건 개선과 업무 개편을 주 내용으로 한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상생 지원 방안’을 30일 발표했다. 협력사 직원들의 과중한 근무 시간을 줄여주고 불법 파견 논란이 없도록 협력사와 업무 영역을 좀 더 확실하게 구분하는 게 골자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우선 협력사 16개 사에 ‘시간 선택제 일자리’ 1000여 개를 새로 만들어 주 5일 근무제도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회사 관계자는 “협력업체 직원들의 업무량이 너무 많아 근무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협력사들이 임금체계 개선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지난 7월 협력사들에 60억원을 1차로 지원한 데 이어 2차로 200억원을 추가 지급할 방침이다.

 지역별 협력사 대표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생협의회’도 이달 안에 발족한다. 정기적으로 대표들과 모임을 가지고 협력업체 및 직원들의 근무 실태와 처우 개선 등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또 삼성전자서비스가 협약을 맺은 전국 57개 심리상담센터에서 협력사 직원들과 가족들이 스트레스 및 심리 상담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서비스-협력업체 간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전산시스템의 경우 사용 용도를 구분해 협력사에 넘기기로 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삼성전자 제품의 사후수리(AS)를 담당하는 자회사로, 전국 120여 개 서비스센터에서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한 총 9000여 명의 수리기사들이 소속돼 있다. 지난 7월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일부 직원은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근무 복장이나 업무 매뉴얼, 전산 시스템이 같다며 삼성전자서비스의 ‘불법 파견’을 주장해왔다.

조혜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