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선거 22년 표의 성향|역대투표로 짚어본 양대선거의 추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48년의 5·10선거를 출발로 하여 우리나라는 일곱번의 국희의원선거, 다섯번의 대통령선거와 두차례 국민투표를 했다. 22년간의 선거사를 돌이켜볼때 아직 투표의 전통이 정립되지는 않았으나 몇가지의 양상과 성향은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첫째로 선거가 개인중심에서 정당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 무소속 출마금지제로 촉진된 이 현상은 선거의 양상을 인기경쟁이 아닌 정책대결로 바꿀 가능성을 띠게 했다.
둘째로는 타락현상의 가속, 선거를 거듭할 수록 돈의 위력이 커가고 있다. 자유당시대에는 고무신 돌리기가 유행이었으나 최근에는 돈을 봉투에 넣어서 돌리는 매표행위와 막걸리공세가 공공연히 성행되어 왔다. 지난 6·8선거는 사상 유례없는 타락선거였다.
세째로 이른바 여촌야도 경향을 들수 있다. 67년 선거에서는 63년때보다 공화당이 도시진출을 많이했지만 야당은 그 존립을 대도시에 의지할만큼 도시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런 성향과 함께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로컬리즘이 선거에 적지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63년과 67년의 선거, 69년의 국민투표에서 나타난 추세를 중심으로 내년 양차선거에서의 표의 흐름을 짚어본다.

<63·67년 선거의 비교>
63년 대통령선거의 가장 큰 특징은 표의 남북현상이었다. 여당이 추풍령이남, 즉 부산·경남북·전남북·제주등 6개시·도에서 이긴데 대해 야당은 서울·경기·강원·충남북에서 우세했다.
그러나 67년 선거에선 표의 분수령이 동서로 이동했다. 공화당의 박정희후보와 신민당의 윤보선후보가 재대결한 이 선거에서 박후보는 부산·경남북·충북·강원·제주등 6개 시·도에서, 윤후보는 서울·경기·충남·전남북등 5개 시·도에서 상대방을 눌렀던 것.

<여 도시지지넓혀>
도시표의 성향을 보면 63년에 전국 32개 시중 야당이 서울·인천등을 포함한 24개시에서, 여당이 부산·대구등 8개시에서 우세했던데 반해 67년에는 여당이 22개군 소시로 지지를 높였으며 서울등 10개 시에서는 여전히 야당세로 나타났다. 영등포갑구를 제외한 서울 각지역구가 야당일색이어서 선거구별로 볼때는 도시의 야당성향이 상존됐지만 이른바 표의 평준화가 어느정도 나타난 것으로 볼수도 있다.
67년 선거는 63년과 비교할때 호남표가 야당화한데 대해 영남표는 여당성향을 더욱 격화시킨 점이 특징이다.
전남북은 63년에 1백17만대 82만으로 여당에 표를 많이 주었으나 67년에는 1백4만대 1백13만으로 약간 야당쪽에 기울었다.

<영남제외 야 우세>
부산과 경남북은 63년에 여당에 1백78만, 야당에 1백12만을 투표했으나 67년에는 2백22만대 92만으로 2배반의 몰표를 공화당의 박후보에게 쏟았다. 박후보는 승패를 가른 1백16만2천표보다도 14만표가 더 많은 1백30만표를 경남북에서 리드했다. 이것은 꼭 경남북을 제외한 전지역을 통틀어 박후보가 윤후보에게 14만표를 졌다는 계산이 나오는 것이다.
63년에 박후보는 4백70만2천표, 윤후보는 4백54만6천표를 얻어 15만6천의 표차밖에 없었으나 67년에는 박후보가 5백68만8천, 윤후보가 4백52만6천표로, 표차는 1백16만2천이었다.
한편 지난해의 10.17 개헌국민투표는 65%란 압도적 찬성을 나타냈지만 표의 추세는 대체로 67년의 동서현상을 재현했다. 다만 부산이 56·7%로 낮은 찬성율을 보인반면 전남이 73·4%란 압도적 지지를 보였다.

<대통령·의원선거 관계>
63년 대통령선거에서 여당이 이긴 지역구는 71개며 야당 우세구는 60.
40일후에 실시된 국회의원선거에서 여당우세지역은 여당 61석 야당 10석으로 나타났으며 야당세의 60개 지역구가운데 야당은 33석(55%), 여당은 27석을 차지했다. 결국 야당의 당선자 43명의 77%(33명)가 대통령선거의 우세지역에서 당선된 셈이 된다.
67년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여야는 각각 대통령 선거에서 이긴 지역구에서 많은 비율의 의원을 냈다. 즉 여당우세지역 75구에서 공화당이 65석을(87%)낸데 대해 56개 야당 우세구에서는 36명(64%)을 당선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야당쪽에서 보면 여당지역에서 10명(13%)을 낸데 대해 야당지역에서는 18명(32%)을 당선시켰다. 6·8총선은 야당의 참패를 기록했기 때문에 통계분석이 일반성을 갖기가 어려운 점이 없지않다.
예컨데 대통령선거에서 야당이 크게 압도한 화순-곡성이 국회의원선거에선 여당의 몰표로 나타났으며(보궐선거에서 결국 야당이 당선자를 냈지만)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을 크게 밀어준 대구근교의 의성에서는 야당의원이 당선되기도 했다. 국회의원선거는 아직도 개인외 명망과 선거력이 큰 득표요인임을 보여준 것이다.
67년 대통령선거에서 야당이 6만표를 이긴 전북이 여당의원만을 배출한 것이라든지, 박정희후보를 윤보선후보보다 2배이상의 지지표로 밀어준 부산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5대 2로 야당을 뽑은 것은 농촌과 도시의 성향으로 풀이할 수 밖에 없다.

<71년 선거>
금년선거의 유권자는 약 1천5백70만명. 67년 대통령선거때보다 1백70만명이 늘어났다.
이중 20대가 31·7%, 30대가 25·7%로서 40세까지의 선거인이 무려 9백만명을 차지하고 있다. 청장년의 유권자가 이같이 늘어난데 따라 여야는 각각 이 분야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공화당이 청년국을 신설하고 다수의 젊은층을 중앙위원으로 발탁하는데 대해 신민당은 특수청년조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충남이 좌우>
젊은 유권자들이 내년선거에서 어떤 성향을 나타낼 것인지는 기권율과 함께 주목거리가 되고있다. 여야가 다같이 조심스럽게 억제하고있는 지방색이 다음 선거에서도 어쩔 수 없이 나타날 것 같다.
최근 통계로는 부산·경남북의 인구가 총인구의 30%를 상회하며 전남북은 20%, 지난 선거때의 동부(부산·강원·충북·경남북·제주)는 42·3%의 인구를 지니고 있으며 서부(서울·경기·충남·전남북)는 57·7%. 인구나 유권자의 숫자면에서는 서부가 동부보다 많은 편이지만 그 농도를 고려하면 인구비율이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서울과 전남북에서의 야당세가 영남에서의 여당세와 맞먹는다면 경기·충남이 캐스팅·보드를 쥘 것으로 볼수도 있을 것이다. 공화당이 수도권탈환작전을 펴는 것이나 야당이 맨투맨전법으로 영남에 파고들 전략을 세우는 것은 모두 지난 선거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는데서 나온 것 같다. <조남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