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의 육성방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문교부는 최근 지방대학의 육성방안이라 하여 몇 가지 시책을 잇달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2일에 발표된 대입예비고사의 합격률 증가 조정 방침을 비롯하여, 익23일에 발표된 지방 대학의 신입생 정원 증가 및 학과 증설 우선 인가방침, 연구비 및 시설자금의 우선 배정 방침, 그리고 지방 대학 교수 TO의 대폭 확장과 각국 공립대학 교원간의 인사 교류방침 등이 바로 그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 지방 대학의 침체 상이 어떠한 정도인가를 아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줄 안다. 그러나 그들의 실정이 우리 나라에서 설립된 허다한 교육기관 가운데서도 가장 낙후를 면치 못하고 있을뿐더러, 이 때문에 오늘날의 우리나라 지방대학들이 학문연구와 진리탐구의 연총으로서의 권위를 세우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각 지역 사회발전의 지적 추진력으로서의 봉사기능조차 제대로 수행치 못하고 있음은 오래 전부터 식자층의 깊은 우려를 자아내게 해왔던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이리하여 일부 성급한 논자가운데에는 그럴 바에야 차라리 31개(교대포함)나되는 우리나라 지방대학 재정을 한데 묶어, 서울대학이나 몇몇 유수한 지방대학에만 집중 투자하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는 등 이를테면 지방대학무용론을 제기하는 소리까지 들리게 해왔던 것이다.
따라서 문교당국이 우리나라 지방 대학들의 이러한 현상타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의 중점적인 육성을 꾀하겠다는 시책을 세운데 대하여 그 원칙을 나무랄 사람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 다만 그러한 방법으로서 문교당국이 제시했다고 하는 서상의 처방들이 과연 적절한 것이냐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의 여지가 있다 하겠으며, 우리의 견해, 역시 그것은 너무도 피부요법적인 피상 성을 면치 못하는 것이라고 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첫째, 평균 40점 정도의 「커를라인」에도 미달되는 대입예비고 합격자를 제아무리 많이 배출시켜, 이드로써 지방대학의 정원 미달현상을 해소시켜 준다하더라도 그것이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과는 오히려 무연의 것임은 상식의 속하는 일이다. 본란은 대입예비고사 자체의 목적정립이 심히 모호하여, 그럴 바에 무엇 때문에 수천 만원의 경비를 들여 이러한 고시를 실시하는 것인지에 대해 반성을 촉구한바 있었음을 상기할 것이다. 지방대학의 정원을 채워주기 위해 합격률만을 높이려는 것이라면 차라리 이러한 제도는 철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둘째, 지방대학에 집중투자를 한다고는 하나, 오늘날 우리의 재정형편이 그 많은 지방대학들에게 만족할 만한 시설비나 연구비를 풍족하게 공급해 줄 수 있으리라고는 도저히 기대키 곤란하다 할 것이며, 더군다나 절대 수 자체가 심히 부족한 대학교수요원들을 아무런 연관 대책도 없이 교통시킬 수 있을 것인지도 의문이라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기회에 우리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참으로 지방대학의 육성을 위해서는 서상과 같은 현상호도적인 피부요법보다는 좀 우원하기는 하되, 지방소재 각급 학교들의 질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서두르라는 것이다. 다른 것은 차치하고서라도, 오늘날 지방에 소재하는 고등학교의 질을 어느 수준이상으로 까지 평준화시키지 않는 한, 지방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질적으로 향상될 수는 없을 것이며, 그런 한에 있어, 정원만은 채워주기 위한 듯한 지방대학의 육성방안이라는 것은 교육적으로나 재정적으로나 별다른 의미를 못 가지는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각 지방대학들이 처하고 있는 격심한 심체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베풀 것을 바라면서도, 그 참다운 발전을 위해서는 그에 앞서 먼저 각 지방소재 중등학교의 심한 격차를 해소하기 의한 평준화 대책부터 서둘러야 한다는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