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공직 기강 확립, 이번에 느낀 게 많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윤창중 스캔들과 관련해 “비서실을 감찰해야 될 정도가 되면 그것은 이미 자격이 없는 것”이라며 “공직자의 기강 확립에 대해 이번에 느낀 게 많다”고 말했다고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전했다.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황 대표와 가진 월례회동에서다. 황 대표는 “박 대통령이 윤창중이란 이름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기강 확립에 대해선 아주 단호한 입장이고, 공직사회에선 감찰 기능이 필요하다는 데 강한 의지를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이번에 공직자의 처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다들 절감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면서 “각 부처에서는 공직자가 국민 신뢰에 어긋나지 않도록 더욱 공직 기강을 확립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공직기강팀의 방미 수행단 조사를 강도 높게 진행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이번 파문을 계기로 청와대 내부의 강도 높은 인적 쇄신과 공직사회 전반에 대한 고강도 사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또 이번 방미 순방팀에 민정수석실 공직기강팀을 동행시키지 않아 사건이 터졌다는 JTBC 보도와 관련해 앞으로는 해외 순방 때 감찰팀이 동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앞서 JTBC는 “이전 정부와 달리 이번 박 대통령의 미국 순방 땐 복무기강 확립을 위해 감찰팀을 파견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경비 문제로 무산됐다”며 “감찰팀이 있었다면 현지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감찰팀의 존재만으로도 기강 확립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JTBC는 또 ▶이명박 정부 때는 대통령의 해외 순방 때마다 감찰팀이 따라가 복무 태도를 점검했고 ▶노무현 청와대에서는 감찰팀 대신 해외 순방지와 청와대에 종합상황실과 민정수석실 역할을 하는 비상상황실을 이원화해 가동시켰다고 보도했다. 감찰팀은 귀국 뒤에는 개개인의 복무기강 상태와 경비 사용 내역까지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윤병세 장관 회견 돌연 연기=윤병세 외교장관은 이날 오후 열려던 내외신 기자회견을 27일로 연기했다. 당초 윤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박근혜정부의 외교 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려 했었다. 그러나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추행 파문과 관련해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이 사건을 워싱턴 경찰에 신고한 주미 해외문화홍보원 직원 해임 논란까지 불거지는 데 대해 부담을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JTBC=전진배 기자, 허진 기자

[관계기사]
▶ [단독] "윤창중, '이거 완전 죽이기 아니냐' 하소연"
▶ 휴대폰 끄고 잠적한 윤창중, 청와대 연락오면…
▶ 美경찰 "윤창중 사건, 중범죄 아닌 경범죄 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