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숙비 '껑충'… 대학가 '비명'

중앙일보

입력

서울대 인근인 서울 관악구 봉천7동의 10여평 방에서 선배와 함께 자취하고 있는 裵윤수(28.서울대 환경대학원)씨는 요즘 방값 때문에 고민이다.

裵씨는 "당초 3천만원이던 전세 보증금을 지난해 5백만원이나 올려줬는데 집주인이 또 5백만원을 올려 받겠다고 해 걱정"이라고 말했다.

새 학기를 앞두고 대학가의 하숙비, 자취방 임대 보증금 등이 최고 50% 뛰어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집주인들은 부동산 가격이 뛰고 있는데다 생필품 값도 올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연세대 등 대학이 밀집한 서울 신촌에서는 2인실 기준 월 27만~30만원 하던 하숙비가 3만~5만원 인상되고 있다. 독방은 월 60만원까지 받는 곳이 늘고 있다.

김현(25.연세대)씨는 "더 싼 하숙집을 찾아 이사하는 친구들이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지방 대학가에도 인상 바람이 불기는 마찬가지다.

전주시 효자동 전주대 주변 자취방은 지난해 2백만원(10평 기준)이던 1년 임대료가 최근 3백만원으로 급등했다. 단국대 천안캠퍼스 등 5개 대학이 몰려 있는 충남 천안 안서동 원룸촌에선 10평짜리 원룸 임대료가 최근 10% 가량 올랐다.

최근 2~3년간 큰 변동이 없었던 경남 창원대.경상대 주변에도 올해는 하숙비를 2만~3만원 올려받겠다는 하숙집들이 늘고 있다.

부담이 커지자 학생들은 자구책을 찾느라 분주하다. 그동안 12평 원룸에서 친구 한명과 함께 생활해 온 玄수지(20.여.상명대 2년)씨는 곧 세명이 살 수 있는 방으로 옮길 작정이다.

전주대 김일수(20.법정학부)씨도 "학교에서 좀 멀더라도 방값이 싼 곳으로 옮길 생각"이라고 말했다.

장대석.김선하 기자 dsj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