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배용의 우리 역사 속의 미소

소원에 화답하는 달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

바로 어제가 정월 대보름날이다. 음력으로 새해 들어 첫 번째 맞이하는 보름날이고 일 년 중 달이 가장 크고 둥글게 보이는 날이다. 우리는 어렸을 적에 대보름날 달이 뜨면 마음에 품은 소원을 달님에게 빌던 따뜻한 추억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대보름 이튿날인 오늘은 새 여성 대통령 시대가 열리는 날이니 밝은 달님의 미소를 보면서 국민 행복 시대에 희망의 내일을 꿈꾸어 본다.

 우리나라 세시풍속에 보면 동짓날이 붉은 팥죽을 먹으면서 천체와 소통하는 날이라면, 정월 초하루 설날은 가족들이 모여 조상께 차례 지내고 덕담을 나누면서 화목을 다지는 날이다. 정월 대보름은 계층을 뛰어넘어 모든 마을사람이 협력과 소통을 다지는 축제가 펼쳐지는 뜻깊은 명절이다. 또한 겨우내 움츠렸던 심신의 기지개를 펴면서 앞으로 바빠지는 농사철을 대비하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움이 새겨져 있다.

‘달맞이’ 작자 미상.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우리 민족 고유의 밝음 사상이 반영된 명절로 달맞이로부터 다리밟기, 마을 제사, 달집태우기, 볏가릿대 세우기, 용알뜨기, 지신밟기, 더위팔기, 줄다리기, 연날리기, 탈놀이, 쥐불놀이 등의 다채로운 민속놀이가 전개된다. 오곡밥, 약밥, 오색나물, 복쌈, 귀밝이술, 부럼 등을 먹으면서 건강을 다지고 한 해의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날이기도 하다.

 특히 다리밟기는 다리를 밟으면 1년의 액을 피하고 다리가 튼튼해져서 다릿병을 앓지 않는다는 풍속으로 장안의 모든 사람이 참여하여 대장관을 이루었다. 이날만큼은 내외법으로 규방에 갇혀 있던 여성들도 모두 나와 답답함을 풀고 다리 힘을 돋우는 역할도 하였다. 또한 부럼을 깨물면 치아도 튼튼해지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하며 불포화성 지방을 섭취하여 영양을 보충하는 의미도 크다.

 이 달맞이 그림은 남녀노소가 함께 모여 저마다 품은 소망을 달님에게 기원하는 마을의 대하모니의 장을 표현하고 있다. 담장 안에서 살포시 미소를 지으면서 산 위에 떠오르는 달을 바라보는 여인들은 무슨 소원을 빌고 있을까. 이 간절하고 아름다운 호소와 이에 화답하는 달님의 미소, 이것이 진정한 소통이 아닐까.

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