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CHINA FORUM] 동북아 공동이익 교차점은 경제 … 꼬인 정세 돌파구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J차이나포럼 창립 1주년 기념 세미나가 24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먼훙화(門洪華) 중공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부주임(왼쪽 넷째)이 ‘공동이익과 동북아 협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토론자 문흥호 한양대 국제학 대학원장, 발표자 이정훈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사회자 신정승 국립외교원 중국연구센터 소장, 발표자 먼훙화 부주임, 토론자 이상현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 [김도훈 기자]

‘신뢰와 경제’. J차이나포럼(회장 정종욱 동아대 석좌교수)·성균중국연구소(소장 이희옥)가 2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새 정부의 중국 정책’ 주제의 세미나에서 제시된 동아시아 문제 해법이다.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 북핵 등의 한반도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 협력을 통해 꼬인 동북아 정세를 풀어나가자는 제안이다. J차이나포럼 1주년 기념으로 열린 이날 세미나는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 10명이 발표 및 토론에 참가했으며 300여 명의 청중이 토론을 지켜봤다.

세미나 참석자들은 정치·경제분야를 막론하고 모두 ‘경제로 풀자’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먼훙화(門洪華) 중공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부주임은 “동북아지역에 남은 유력한 공동이익 교차점이 바로 경제”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돌파구로 삼고, 더 나아가 한·중·일 자유무역지대를 건설하자는 게 중국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동아시아 각국이 공유할 수 있는 이익 공통점을 찾아내고 넓혀나가는 게 지역 정세 안정의 시작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창재 연구위원은 더 나아가 “한·중·일 정상회의를 경제분야로 확대 발전시킨 ‘미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정영록 주중 한국대사관 공사는 “중견 국가로서 복합 FTA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는 ‘한·중 경협 3.0시대’로의 발전이다. 양국 간 경제 교류의 패러다임이 1990년대의 제조업(공장 이전) 교류, 2000년대 초에 시작된 상품 교류(한국 제품의 중국 소비시장 진출) 단계를 넘어 전면적인 서비스 교류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는 얘기다. 장쥔(張軍) 푸단대 중국연구센터 주임(교수)은 “노동생산성 향상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중국은 해외 선진기술 도입을 위해 산업 개방 수준을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한·중 경제협력은 이제 단순 제조업이나 상품 수출을 넘어 기술 협력 패러다임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성장산업 분야 양국 간 협력 기회를 찾아야 할 것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이문형 산업연구원(KIET) 박사는 “한국과 중국 모두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개발 경쟁을 하고 있지만 중국은 창의성 및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고, 한국은 창의성과 성공 경험은 풍부한 데 비해 시장과 자금이 빈약하다”며 “세계시장과 중국시장을 겨냥한 비즈니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 경협 3.0시대의 또 다른 핵심은 ‘한·중 시장의 경제국경 허물기’다. 이문형 박사는 “제조업과 연계된 지식서비스산업, 특히 유통·물류산업의 대중국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며 “제품 기획 단계부터 중국을 타깃으로 한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망 분야로는 제약, 화장품, 문화상품 등이 꼽혔다.

 중국의 도시화에 대한 보다 전향적인 대응도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 장쥔 주임은 “올 3월 총리에 오를 리커창(李克强)은 도시화를 경제 발전의 핵심 정책으로 선택했다”며 “이는 곧 중국의 소비시장이 제2, 3 도시로 급속하게 확대될 것임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현재 51% 수준인 도시화율을 장기적으로 7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다중 전략(Multi-Strategy)’이다. 표민찬 서울시립대 교수는 “중국 소비시장은 명품과 바닥상품이 공존하고 있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동시에 발전하며, 첨단기술과 노동집약산업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며 “프리미엄 상품과 대중적 상품, 도시와 내륙, 서비스 시장과 연계한 제조업 등 다각화된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