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기고

사회공헌, 국민통합의 에너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이념·세대·지역 갈등이 심했던 18대 대선을 거치면서 국민통합이 가장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등장했다. 새 정부 인수위원회에는 국민통합위원회가 설치되기도 했다. 필자는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사회공헌을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고 본다.

 자본주의 선진국인 미국의 예를 들어보자. 1900년대 초 산업화가 절정기에 이르면서 빈부격차도 최고조로 확대된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우드로 윌슨의 혁신정부는 부의 사회환원과 사회의 불공정한 행위를 바로잡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이때 시작된 부유층·사회지도층의 사회공헌 활동은 미국 자선문화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2001년 미국 비영리단체인 기빙유에스에이(Giving USA)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 전체의 기부금(약 250조원) 가운데 80%가 개인 기부인데, 이 중 상위 7% 부유층 가구가 낸 돈이 절반을 차지했다는 것이다. 사회통합을 위한 부유층과 사회지도층의 사회공헌이 다민족·다문화 사회인 미국에서 일찌감치 시작됐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역사적 경험을 볼 때, 정부 주도의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도 필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자생적·자발적 사회공헌 문화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사(修辭)보다는 지도층과 부유층의 신념과 행동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틀을 마련했던 박정희 대통령의 딸이 국정 최고지도자가 됐다. 또한 산업화 정책의 지원에 힘입어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대기업 창업주들이 가고 그 후손이 경영을 이어받은 상황이다. 그 후대들은 바뀐 시대에 맞게 새로운 방식의 사회통합을 해야 하며, 그 핵심은 사회공헌 문화의 형성이라고 본다. 20세기 초 오일·철강 산업으로 미국 최대의 부를 이루고 재산 환원을 통해 부유층의 사회적 역할을 선도해 온 존 D 록펠러와 앤드루 카네기의 사회공헌 활동을 사표로 삼았으면 한다.

김용우 사회통합위원회 계층분과위원, 동서자선문화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