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우시시각각

검색결과

김두우시시각각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 [김두우시시각각] 실적없는 진보, 자부심없는 보수

    아무리 훌륭한 명분이 있더라도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공허하다. 현실을 도외시한 정치가 어떤 종말을 맞는지 우리는 뼈저리게 경험했다. 김영삼·김대중 대통령은 취임

    중앙일보

    2008.02.24 20:50

  • [김두우시시각각] 잔뜩 위축된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은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현장에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100만이 넘는 국민이 자원봉사를 갈 정도로 온 국민의 관심사였던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 때도 그랬다.

    중앙일보

    2008.02.17 20:17

  • [김두우시시각각] 손학규와 이회창

    2007년 대선을 거치면서 가장 마음이 쓰라렸던 사람은 누구일까.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최대 표차로 고배를 마신 대통합민주신당의 정동영 후보, 50년 정통 야당이라 자처했건

    중앙일보

    2008.02.10 20:35

  • [김두우시시각각] ‘CEO 대통령’의 함정

    역대 대통령들은 정말이지 개성이 너무 뚜렷했다. 이승만·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 대통령. 그들은 각각 자신만의 리더십으로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에 기여했다. 대한

    중앙일보

    2008.02.03 20:11

  • [김두우시시각각] 첫인상이 5년을 좌우한다

    김대중 정권 초기의 일이다. 어느 날 갑자기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정문 앞에 희한한 플래카드가 나붙기 시작했다. “촌지, 주지도 받지도 맙시다” “촌지문화 근절하자”. 당시 이

    중앙일보

    2008.01.27 20:31

  • [김두우시시각각] 손학규 부활하나

    한 번의 선택 잘못으로 나락에 떨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늘 선택을 강요받는 정치의 세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문제는 아무리 현명한 사람이라 해도 한두 번쯤 삐끗하는 일이 없을 수

    중앙일보

    2008.01.20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