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대에 수백억 안겨줬다…배터리 수명 마술사, 선양국 유료 전용
국내 대학들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등에 넘겨주고 받는 수익은 연간 1000억원 정도다. 연도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KAIST가 연간 80억원 안팎, 서울대가 70억원 안팎의 수
-
“내 최고 작품은 폭탄이죠”…30년간 매주 논문 낸 석학 유료 전용
‘0.1%를 만나다’가 만나온 세계 정상급 석학들은 한결같이 연구의 ‘양보다 질’을 강조했다. 학계는 논문을 많이 썼다고 인정받는 곳이 아니라 한 편을 쓰더라도 임팩트 있는 성과
-
담배 안 피우는데 '폐암' 걸렸다…'돌연변이' 추적하는 명의 무기
━ [0.1%를 만나다] 안명주 교수 안명주 교수 [중앙포토] 국내 암 발병률만 놓고 보면 갑상샘암이 가장 높지만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
-
비흡연 폐암 잡겠다…‘돌연변이’ 쫓는 명의
━ [0.1%를 만나다] 안명주 교수 안명주 교수 [중앙포토] 국내 암 발병률만 놓고 보면 갑상샘암이 가장 높지만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
담배 안 피우는데도 폐암…‘돌연변이’ 추적하는 안명주 유료 전문공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사실상’ 폐암이다. 발생 숫자로만 보면 갑상샘암이 조금 더 많지만, 갑상샘암은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폐암이
-
K배터리 '조선최강' 선봉장…새벽 4시반~밤9시에 꼭 챙기는 것
━ [0.1%를 만나다] 조재필 교수 전기차 배터리 실험장비를 살펴보는 조재필 UNIST 교수. 송봉근 기자 충전해 재사용하는 배터리, 즉 이차전지 기술은 세계적으로 한·
-
‘수명 30% 연장’ K배터리 원천기술 만들다
━ [0.1%를 만나다] 조재필 교수 전기차 배터리 실험장비를 살펴보는 조재필 UNIST 교수. 송봉근 기자 충전해 재사용하는 배터리, 즉 이차전지 기술은 세계적으로 한·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연구성과 1등 대학의 비결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48)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생명공학
-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 연구성과 1등 대학의 창업 비결
━ [혁신창업의 길]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가운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가 자신이 창업한 생명공학 스타트업 슈파인세라퓨틱
-
‘30% 수명연장’ 꿈 이뤘다…K배터리 선봉장, 조재필 유료 전용
배터리가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 휴대전화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까지. 현대인의 하루는 배터리 충전으로 시작해 방전으로 끝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충전해 재
-
'지능제어' 세계 톱 연구자…산불 고통 호주가 SOS 친 한국인
━ [0.1%를 만나다] 안춘기 교수 안춘기 교수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강조한다. 젊은 나이에 그를 ‘0.1%의 연구자’로 만든 비결이다. 김
-
기계에 ‘두뇌’ 심는다, 지능제어 연구 세계 톱
━ [0.1%를 만나다] 안춘기 교수 안춘기 교수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강조한다. 젊은 나이에 그를 ‘0.1%의 연구자’로 만든 비결이다. 김
-
낙동강 페놀이 인생 바꿨다, 47세 늦깎이 교수의 반전 유료 전용
세계적 석학들은 일찌감치 자신만의 길을 찾아 연구를 시작한 경우가 많다.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듯, 이른 나이에 연구를 시작해 보통 40대에 학문적 전성기를 맞는다. 물
-
40년 미해결 난제 풀었다…‘로봇 두뇌’ 만드는 안춘기 유료 전용
지난 설 연휴, 안춘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호주로 향했다. 호주 연구진으로부터 산불을 감시하는 드론을 공동 연구하자는 제안을 받아서였다. 2019년 9월 발생한 호주
-
"절대 '문송'할 필요 없다"…'세계 0.1%' 4년째, 48세의 비결
━ 한희섭 교수 한희섭 세종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는 48세의 젊은 석학이다. 늘 웃는 친절한 모습은 서비스업을 해도 성공했을 법하다. 강정현 기자 글로벌 학술정보
-
"운 나빠 치매 오는 것 아냐…2주 만에 몸 바꾸는 비법 있다"
━ 미생물학자 천종식 ━ 5년 연속 세계 상위 0.1% 연구자 ‘HCR ’에 오른 천종식 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지난해 CJ 바이오사이언스 대표로 변신
-
문송 시대, 문과생 0.1% 됐다…‘4년째 세계 석학’ 48세의 비결 유료 전용
글로벌 학술정보 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상위 0.1%에 해당하는 연구자들을 ‘HCR(Highly Cited Researchers)’로 선정한다. 그런데
-
“미생물로 치매·자폐 없앤다”…유튜버·기업인·석학, 천종식 유료 전용
천종식 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의 현재 직업은 상장사 대표다. 지난해 서울대를 떠나 CJ바이오사이언스의 대표이사가 됐다. 교수 시절에도 그에겐 여러 직함이 따라다녔다. 벤처 창
-
대장균으로 휘발유 만들다, 21세기 연금술사 이상엽의 마법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설명하고 있는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프리랜서 김성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을 떠올렸다는 아이작 뉴턴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
소 도살장서 “유레카” 외쳤다…21세기 연금술사, 이상엽 유료 전용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을 떠올렸다는 아이작 뉴턴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 중 한 명이다. 동시에 뉴턴은 ‘마지막 연금술사’로 불린다. 금속을 금으로 바꾸는 마법
-
노벨상 발표날, BTS 틀었다…자타공인 ‘나노 대가’ 현택환 유료 전문공개
■ 0.1% ‘월클’ 박사들의 특강 「 학문의 세계에도 ‘월드 클래스’가 있습니다. 축구계의 ‘월클’ 손흥민처럼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학계에서 ‘엄지척’을 망설이지 않는 연구
-
우리도 ‘월클’ 연구자 있다…0.1% 세계로의 초대 유료 전용
━ 우리에게도 월클 연구자가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세상. 그 선두에서 인간이 닿지 못한 영역에 길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치병을 치료하고, 환경 파괴를 막고,
-
‘글로벌·혁신수업’ 통해 미래 대학교육의 모델 제시
━ 성균관대학교, 융복합 교육과 맞춤형 진로지도로 45개 대학 중 취업률 1위 성균관대학교는 2019년 신동렬 총장 취임 이래 학생성공, 미래가치 창출이라는 모토 아래 교
-
[교육이 미래다] 임종환·박상원 교수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에 선정
경희대학교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의 농학 분야에서 선정된 임종환 고황명예교수(왼쪽)와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정된 박상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