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EDITOR’S LETTER]날자, 한국 미술

    [EDITOR’S LETTER]날자, 한국 미술

    며칠 전 큐레이터 이대형(35)씨를 만났습니다. 지난주 중앙SUNDAY 매거진 이슈였던 ‘한국 미술, 런던 습격사건’의 주인공입니다. 데미언 허스트를 키워낸 영국의 세계적인 컬렉

    중앙선데이

    2009.07.18 16:23

  • [EDITOR’S LETTER]아버지의 필살기

    [EDITOR’S LETTER]아버지의 필살기

    필살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1990년대 이후 일본 만화영화나 게임에서 자주 쓰는 말이지요. 프로레슬러들이 경기를 끝내기 위해 사용하는 자신만의 기술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피니셔(

    중앙선데이

    2009.07.11 23:54

  • 쇠락한 도시 되살리기 좌파 우파 따로 없었다

    쇠락한 도시 되살리기 좌파 우파 따로 없었다

    네르비온 강변에 있는 빌바오 시청 건물은 중세시대 궁전을 연상시킬 만큼 아름답다. 이곳에서 빌바오의 도시 개조 스토리를 물었다. 백발에 흰 수염을 기른 시청 직원 마우로 운다(사

    중앙선데이

    2009.07.05 02:58

  • 문화를 짓고, 사람을 흐르게 하라

    문화를 짓고, 사람을 흐르게 하라

    스페인 발바오 ‘현재는 과거를 밀어내지 않고, 과거는 현재를 미워하지 않는다’. 이른 아침,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네르비온 강가를 걸어 구겐하임 미술관으로 향하면서 든 생각이다.

    중앙선데이

    2009.07.05 02:56

  • [김성희의 유럽문화 통신]여성을 보는 ‘시대의 시선’

    [김성희의 유럽문화 통신]여성을 보는 ‘시대의 시선’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럭셔리 문화가 바뀌었다. 부자들은 유명 브랜드 제품을 사용해 그들의 경제 능력을 과시하기보다는 자신의 몸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피트니스 센터에 등록하고 성형

    중앙선데이

    2009.03.29 00:18

  • 갈릴레이와 비교하면 난 좀 비겁했네 앞에 나서 전통에 도전해 본 적이 없거든

    갈릴레이와 비교하면 난 좀 비겁했네 앞에 나서 전통에 도전해 본 적이 없거든

    3 다윈, 칼 세이건과 우주를 보다 “갈릴레이와 다윈 중에 누가 더 인류의 토대를 뒤흔들어 놓았는가?” 지난해 12월 영국의 한 과학잡지는 이런 얄궂은 질문을 던졌다. 지구가 우

    중앙선데이

    2009.03.29 00:06

  • ‘3리마다 성이요, 5리마다 곽’ 연암도 중국의 담이 궁금했다

    ‘3리마다 성이요, 5리마다 곽’ 연암도 중국의 담이 궁금했다

    연암 박지원 선생은 1780년 음력 6월 한양을 떠나 베이징(北京)으로 향한다. 청 건륭제(乾隆帝)의 칠순 잔치를 축하하기 위해 떠나는 사신 행렬을 따라서다. 약 2개월간에 걸쳐

    중앙선데이

    2009.03.29 00:03

  • 땅 위의 생명들은 영혼의 뜻을 구현하는 우주의 아들

    땅 위의 생명들은 영혼의 뜻을 구현하는 우주의 아들

    주돈이의 태극도(太極圖) 퇴계의 열폭 ‘성학십도(聖學十圖)’중 맨 첫머리에 실렸다. 영원의 중심에서 대극적 힘의 형성, 거기에서 펼쳐지는 생명과 자연의 세계를 간략하게 도식화했다

    중앙선데이

    2009.03.08 01:40

  • ‘이브 생 로랑 컬렉션’ 경매, 마티스가 가장 비싼 이유

    ‘이브 생 로랑 컬렉션’ 경매, 마티스가 가장 비싼 이유

    1 ‘파리 이브생 로랑 경매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마티스 그림. AP=연합 2월 말 파리에서 열린 이브 생 로랑 소장품 경매 최고 화제는 아편전쟁 때 약탈당한 청나라 청동상 두 점

    중앙선데이

    2009.03.08 01:37

  • 지구 밖 ‘외계인의 시선’이라니 윌슨, 자네는 말 짓기의 달인이야

    지구 밖 ‘외계인의 시선’이라니 윌슨, 자네는 말 짓기의 달인이야

    『통섭』(최재천-장대익 공역·사이언스북스)=자연과학과 인문사회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식의 대통합을 시도한 역작. 하버드대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지식의 큰 가지를 몇몇 공통

    중앙선데이

    2009.02.28 01:14

  • 도적,강도들을 떨게 했던 ‘표국 무사’ 왕오

    도적,강도들을 떨게 했던 ‘표국 무사’ 왕오

    실존했던 황비홍(1847년생)보다 두 살 많았던 왕오(王五)는 베이징(北京)에서 이름을 떨쳤던 무술인이다. 황비홍이 광둥(廣東)을 중심으로 한 중국 남부에서 이름이 높았다면, 왕

    중앙선데이

    2009.02.28 01:04

  • 다시 묻는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다시 묻는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난해 초겨울 해인사에 강의차 갔다가 뒷산 깊은 속, 토기 굽는 가마에 들른 적이 있다. 머리를 뒤로 맨 도공이 설파하는 불의 표정에 대해, 그 분노와 사랑에 대해 일장 강의를

    중앙선데이

    2009.02.08 07:12

  • 'XO뿐"

    'XO뿐"

    소암(素菴) 현중화(1907~97)는 평생을 ‘먹고 잠자고 쓰고’로 일관한 서예가다. 고향인 제주도 서귀포에 눌러앉아 자연을 벗 삼아 제자를 기르며 오로지 글씨 쓰는 일로 한세상

    중앙선데이

    2008.10.11 22:36

  • 궁상의 달인

    신문지가 여러 모로 쓸모 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몇 십 년 안짝 얘기입니다. 정육점 고기 포장지나 붓글씨 연습지로 쓰이던 신문지를 기억하실 겁니다. 신문지를 반듯하게 여러 겹으로

    중앙선데이

    2008.04.06 00:19

  • 술의 예술

    일요일자 신문을 내고 나면 월요일쯤 이러쿵저러쿵 실린 글을 품평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1년 내 ‘윤광준의 생활명품 이야기’를 즐겨 읽었다는 한 애독자는 며칠 전, 그중 으뜸은 ‘장

    중앙선데이

    2008.03.29 21:50

  • ‘녹색평론’ 99호

    학교 다닐 때 은사가 명심하라며 일러 주신 말씀이 이따금 떠오릅니다. 중학교 생물 선생님이 내리신 지침은 지금도 열심히 지키는 편이죠. 자주 다니는 곳이나 거리라면 어디든 급할 때

    중앙선데이

    2008.03.22 23:24

  • 쉰 세 번째 사랑

    벌써 이십 몇 년 전 이야기입니다만, 어제 일처럼 선명한 장면 하나가 있습니다. 한 대학교 교양관 2층에 있던 암실(暗室)이 무대입니다. 시절도 딱 요맘때쯤이었지요. 대학신문사 수

    중앙선데이

    2008.03.15 15:59

  • 연극이 살아가는 힘

    연극이 살아가는 힘

    해마다 7, 8월 휴가철에 프랑스 샬롱과 오리악에서 열리는 ‘거리 축제’는 대표적인 거리극 잔치로 꼽힙니다. 1년 내 이때를 기다려온 전 세계 거리극 애호가들이 도시를 접수해 “

    중앙선데이

    2008.03.08 16:38

  • 연극보다 유연하고 영화보다 심오한…

    건축가이자 시인인 함성호씨는 우리가 흔히 만화 대여점이라 칭하는 곳을 ‘만화당’이라 합니다. 어린 시절 그가 살던 동네에서는 금은방 부르듯이 다들 그렇게 불렀다는군요. 만화를 금붙

    중앙선데이

    2008.03.01 19:30

  • 두툼한 손바닥

    바람이 삭삭 불거나 수제비 같은 눈이 내릴 때 생각나는 분이 있습니다. “무릎이 시릴 때는 꼭 도가니탕을 드세요. 영 먹기 싫으면 내 얼굴을 떠올리면서 약 먹는다 치고 한 그릇 뚝

    중앙선데이

    2008.02.17 00:38

  • ‘생이름’의 배우 박정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로 보면 배우 박정자(66)씨는 손해 본 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 수난사’에서 꽤 큰 자리를 차지하는

    중앙선데이

    2008.02.09 20:23

  • 배꼽에 두 손을 모으고

    사람 푼수를 헤아릴 때 오장육부를 빗댄 말이 많음은 인간이 살아 움직이는 데 내장이 그만큼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뜻이겠지요. 하는 짓이 줏대가 없는 자를 쓸개 빠진 놈, 실없이 웃

    중앙선데이

    2008.01.26 19:16

  • 한국 건축가를 위하여

    지금은 문화재청장으로 일하는 유홍준 선생이 미술평론가였던 몇 년 전에 한 얘기를 가끔 떠올립니다. 신문 문화면에 화가와 조각가의 전시회 소식이나 작품 비평은 실으면서 왜 건축가가

    중앙선데이

    2008.01.12 21:16

  • 희곡 쓰기 운동 본부

    중앙SUNDAY를 창간호부터 보신 독자라면 장정일이란 이름 석 자를 기억하실 겁니다. 매거진에 ‘장정일이 만난 작가’라는 고정란을 반 년쯤 연재한 시인·소설가·희곡작가·책 평론가이

    중앙선데이

    2008.01.0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