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구의 형태전제로 볼륨을 극대화

    고수 작품 『자매Ⅱ』는 두 여인이 달려나가는 포즈를 취하고 있는 브론즈조각으로 구의 형태를 대 전제로 하여 볼쯤을 극대화시켰다. 3개월의 제작 기간을 거쳐 출품, 대상의 영광을 안

    중앙일보

    1981.09.21 00:00

  • 삼성미술문화재단 도의문화 저작상 결정 희곡부문 김병종·강태기씨|심사평|소설

    이번 응모작품들의 대부분이 이야기의 전달에만 치중했고 소설의 형식이나 기교를 외면한 느낌을 주었다. 물론 개중에는 주제라든가 「스토리」의 전개에 있어서 아까운 느낌을 주는 것도 없

    중앙일보

    1981.01.31 00:00

  • (2)판화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 모색

    이=지난해 미술계의 전반적인 흐름을 볼 때 공정적인 측면에서 두드려질만한 현장은 없었던 것 같아요. 새로운 문제제기는 거의 없지 않았나 하는 생각입니다. 오=79년 후반기부터 사

    중앙일보

    1981.01.07 00:00

  • 세계 속의 한국 극

    「프랑스」 사람들의 우스갯소리 중에 이런 얘기가 있다. 어떤 부인이 연극을 보고 있었다. 그때 누가 찾아와서 남편이 방금 운명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 부인은 깜짝 놀라 달려나

    중앙일보

    1977.01.26 00:00

  • 『「헨리」와 「케이토」』「아이리스·머도크」저 도덕에 희화요소 가미

    새해들어 첫선을 보인 영국 여류작가 「아이리스·머도크」의 신작소설 『「헨리」와 「케이토」』(「바이킹」사간)는 그가 기왕에 추구해온바 지적 소설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도덕

    중앙일보

    1977.01.12 00:00

  • 만화는 곧 어린이 교재-만화 윤리「세미나」…조연현씨 발표

    만화가 어린이들의 생활에 끼치는 영향은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크며 최근엔 어른을 상대로한 성인 만화가 제작돼 그 퇴폐와 비윤리성이 문제되기도 한다. 5일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 주최

    중앙일보

    1975.09.06 00:00

  • (72)문화창조|「문화의 달」10월 맞아

    란 말이 하도 흔히, 하도 널리 쓰여지기에 토론에 있어 혼란을 막기 위하여, 일단 어의규정을 하고 들어가기로 한다. 좁은 의미로는 흔히 정치·경제·문화로 구분되듯이 예술·학술을 중

    중앙일보

    1974.10.10 00:00

  • 『「세빌리아」의 이발사』를 보고

    일본인 연출가「스즈끼·게이스께」를 초청, 홍연택 지휘 국립교향악단의 관현악으로 가진 이번『「세빌리아」의 이발사』공연은 이「오페라」가 갖는 희가극적인 요소를 살리기 위한 여러 가지

    중앙일보

    1973.12.15 00:00

  • 서울대 음대국악연주회를 보고

    국악 현대사의 주축을 이뤄온 서울대음대 국악과가 올해로 13번째의 정기 연주회를 기록했다는 것은 여간 감격스런 일이 아니다. 지난 10여년 동안 우리악단의 창작활동은 거의 서울대음

    중앙일보

    1973.06.09 00:00

  • 거짓제보와 허위 진정

    만우절이라는 4월1일만 되면 112신고와 119신고 전화통이 깨질 듯 울리고, 평소에도 무슨 큰 사건이 터지기만 하면 허위신고가 빗발처럼 쏟아지는 것이 요즘 우리사회에서의 일이다.

    중앙일보

    1972.10.13 00:00

  • 스승의 날에

    「토파즈」 선생은 개구쟁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가난한 중학 교사이다. 너무도 사람이 좋은 그들, 애들만이 아니라 교장까지도 넘보고 있다. 어느날 학교의 유력한 「패트런」 (후원자)인

    중앙일보

    1972.05.15 00:00

  • 스파이 얘기 곁들인 애정 물

    사운드·오브·뮤직 등 몇몇 뮤지컬 영화에서 재능을 보인 줄리·앤드루즈가 출연, 타이틀·백이 그의 아름다운 노래로 시작돼 처음부터 뮤지컬의 냄새가 짙게 풍기지만 실은 스파인 얘기를

    중앙일보

    1971.08.28 00:00

  • 경쟁과 자비-이청담

    오늘날의 우리민족 생활사를 훑어본다면 협동적인 민족공동체의 목표달성을 꾀하기보다는 파와 투쟁만을 일삼고 있음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 속담에 『두 사람만 모이면 당파가 생긴다

    중앙일보

    1971.03.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