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개월전 앙상했던 그 사자…대구 동물원 찾아 생닭 줬더니

    10개월전 앙상했던 그 사자…대구 동물원 찾아 생닭 줬더니

    대구 수성구 아이니테마파크의 지난해 4월 말랐던 사자 모습(왼쪽)과 기력을 어느정도 회복한 최근 모습. [사진 정브르] 백경서 기자 몸의 갈비뼈가 드러날 정도로 앙상하게 말랐던

    중앙일보

    2021.02.16 05:00

  • 무인도만 찾던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 둥지 튼 까닭은?

    무인도만 찾던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 둥지 튼 까닭은?

    백령도에서 최초로 번식이 확인된 노랑부리백로. [환경부 제공] 그동안 무인도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사람이 사는 백령도에서 최초로 번식에 성공했다.

    중앙일보

    2019.04.09 12:00

  • 몽골 정부 훈장 받은 ‘독수리 아빠’

    몽골 정부 훈장 받은 ‘독수리 아빠’

    “죽은 짐승만 먹는 독수리(천연기념물 제243-1호)는 최고의 환경 파수꾼입니다.”   한국조류보호협회 한갑수(64) 파주시지회장은 ‘독수리 아빠’로 불리는 인물이다. 매년 몽골

    중앙일보

    2018.01.02 01:00

  • 몽골 정부 훈장 받은 ‘독수리 아빠’ 한갑수씨의 독수리 사랑

    몽골 정부 훈장 받은 ‘독수리 아빠’ 한갑수씨의 독수리 사랑

    한갑수 한국조류보호협회 파주시지회장이 몽골 정부로부터 받는 훈장을 들고 있다. 전익진 기자   “죽은 짐승만 먹는 독수리(천연기념물 제243-1호)는 최고의 환경 파수꾼입니다.

    중앙일보

    2017.12.31 13:12

  • “따오기도 32년 전 한반도서 사라졌다”

    “따오기도 32년 전 한반도서 사라졌다”

    위쪽부터 따오기, 원앙사촌, 크낙새, 종어.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의 멸종위기종을 수록한 총서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간행됐다.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종천)은 조류 95종, 양

    중앙일보

    2011.07.07 00:00

  • ‘겨울 귀빈’ 먹황새 가족 30년 만에 중부전선 오다

    ‘겨울 귀빈’ 먹황새 가족 30년 만에 중부전선 오다

    ‘겨울철 진객’ 먹황새가 30년 만에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 나타났다. 한탄강지키기운동본부 이석우(52) 지역본부장은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 태풍전망대에서 망원카메라

    중앙일보

    2009.11.14 01:59

  • ‘귀하신 몸’ 따오기·황새 대전동물원에 둥지 틀다

    ‘귀하신 몸’ 따오기·황새 대전동물원에 둥지 틀다

    1일 오전 11시쯤 대전시 중구 사정동 대전동물원 종보전센터 옆 50여 평 남짓한 방사장. 지난달 27일 일본에서 비행기로 공수한 붉은뺨따오기 3마리가 한가롭게 방사장을 거닐고 있

    중앙일보

    2008.12.02 01:28

  • [전국 프리즘] 사라져가는 동식물 … 뒷짐만 진 환경부

    최근 제주에선 부실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논란이 뜨겁다. 생명수인 지하수 함양지대이자 '생태계의 허파'로 불릴 만큼 그 생태적 가치가 새삼 주목받고 있는 제주 중산간 '곶자왈' 지

    중앙일보

    2005.10.25 21:13

  • [시론] 돌아오라 크낙새여

    이른 아침 고요한 광릉숲 속을 걷다보면 '딱딱 따다다닥~ 딱딱~'하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참나무.소나무 등 오래된 고목 줄기를 딱따구리가 두드리는 소리다. 조용히 다가가

    중앙일보

    2005.03.24 18:42

  • 익산 무형리 주민들 황새 지키기 '정성'

    한 시골 주민들이 ‘겨울철 진객’ 황새(천연기념물 1백99호)를 보호하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펼치고 있다. 전북 익산시 망성면 무형리 주민들은 지난 9일부터 면사무소 직원들과 함

    중앙일보

    2002.01.17 00:00

  • [이 사람] 한갑수씨 "독수리는 최고의 환경파수꾼"

    파주시 적성면에서 오토바이 수리점을 운영하는 한갑수(韓甲洙.48.사진)씨는 '독수리 아빠'로 더 유명하다. 그는 5년째 이 지역으로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오는 천연기념물인 독수리들

    중앙일보

    2001.12.22 00:00

  • ['시화호 지킴이' 최종인씨 인터뷰]

    경기도 안산시청 일용직원 최종인(崔鍾仁.46)씨는 7년여째 오전 5시면 덜덜거리는 12인승 승합차를 몰고 시화호로 향한다. 공휴일은 물론 명절날도 마찬가지다. 야생동물들에 볍씨와

    중앙일보

    2001.07.23 00:00

  • [말말말] "농민이 보기에 은행은 밑빠진 독" 外

    ▷ "농민이 보기에 은행은 밑빠진 독" - 한갑수 농림부장관, 인터뷰 도중 '농민들은 금융구조조정에 수십조씩 넣을 돈 있으면 차라리 농민 빚이나 갚아달라고 한다' 면서. ▷ "의사

    중앙일보

    2000.08.18 00:00

  • [채널톱] 강화도 주민의 갯벌사랑…KBS1 환경스페셜

    □…환경스페셜(KBS1 밤10시15분)〓 '갯벌, 사람을 살리다' .갯벌을 지키려는 강화도 주민의 '그린 프로젝트' 를 소개한다. 강화도 갯벌은 썰물 때 1천8백만평이나 드러나는

    중앙일보

    1999.10.20 00:00

  • 황금박쥐 소식에 '기쁨'보다 '한숨'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및 보존 야생 동식물 포유류 1호인 '붉은 박쥐' (일명 황금박쥐) 의 집단 서식지가 전남의 한 폐광에서 발견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전문가들은 '기쁨' 보다

    중앙일보

    1999.02.05 00:00

  • 희귀조 '검은머리 갈매기' 국내서 첫 번식과정 조사

    세계적인 희귀새 검은머리갈매기의 번식과정에 대한 생태조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이뤄졌다. 경희대 윤무부 (尹茂夫.생물학과) 교수는 27일 세계적인 희귀새 검은머리갈매기 (학명 La

    중앙일보

    1998.06.28 00:00

  • 지리산 반달곰 위성으로 보호 - 삼림청, 추적.생포후 전파발신기 부착키로

    인공위성을 통해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움직임을 24시간 감시.보호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희귀 동물인 반달가슴곰 보호를 위해 이들에게 목걸개 형태의 전파발신기(GPS)를 부착

    중앙일보

    1997.04.17 00:00

  • 南海 순천만 주변 희귀鳥 4種 발견

    남해안 순천만 주변에서 황새.저어새.재두루미.흑두루미등 국제보호조류 4종이 한꺼번에 발견돼 조류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교원대 김수일(金守一.생물학과)교수는 전남순천시대대동

    중앙일보

    1996.11.19 00:00

  • 천연기념물 두루미 밀렵꾼 총맞아 치료

    천연기념물이자 국제보호조류인 두루미가 왼쪽 날개에 밀렵꾼이 쏜 것으로 보이는 총상을 입고 동물구조단의 치료를 받고 있다. 이 두루미는 9일 오후4시쯤 서울 보라매공원 앞 김선이(金

    중앙일보

    1996.02.10 00:00

  • 비무장지대 국제적 자연생태공원으로 만들어야

    6.25전쟁 이후 40여년동안 민간인의 발길이 닿지 않아 다양한 생물자원이 가장 완벽하게 보존돼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비무장지대(DMZ)를 국제적인 자연생태공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중앙일보

    1994.10.17 00:00

  • 지리산 피아골·심원계곡과 강원도 대암산동식물 「특별보전구역」만든다

    환경청은 16일 풍부한 동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지리산 피아골 및 심원계곡 (전남 구례군 토지면, 산동면)과 대암산(강원도 인제군, 양구군)을 특별보전구역으로 지정키로 하고 보호

    중앙일보

    1989.01.16 00:00

  • 주남저수지 태극오리 등 떼죽음

    【부산=조용현 기자】세계적 철새 도래지인 경남 의창군 동면 주남저수지에서 월동서식중인 국제보호조 태극오리(일명 가창오리)등 각종 희귀 철새들이 농민들이 보리밭 보호를 위해 뿌린 농

    중앙일보

    1988.02.29 00:00

  • 가볼만한 곳과 준비물 등을 알아본다

    하늘의 손님, 겨울철새의 계절이 다가왔다. 겨울이면 우리곁을 찾아드는 이들은 멋진 나래짓으로 너울대며 밝은 울음소리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최근 강이나 호숫가, 들녘에 망원경 카메라

    중앙일보

    1986.11.27 00:00

  • 휘귀조 떼지어 "내방"…겨울난다|낙동강에 흰갈매기·달성엔 흑두루미

    전국을 엄습한 혹한속 낙동강하구와 경북달성군에서 세계적 희귀조인 흰갈매기와 천연기념물 2백28호로 지정된 흑두루미가 각각 날아들어 월동중인 사실이 확인돼 조류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중앙일보

    1985.0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