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두만강하구 경제특구를 가다/창간특집

    ◎북한 중국 소련 3국 개발주도권 치열한 각축/도문­훈춘간 65㎞ 철도공사 한창/중국의 방천까지 항로 계획에 소선 “어림없다”/북한,청진등 기존항구 이용한 「선봉특구」 제시 【연길

    중앙일보

    1991.09.20 00:00

  • 주택문제 해결에 「체제」를 걸어라

    우리나라에서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1천80만명인데 이중 5%인 54만명(전국민의 1.3%)이 전체 민유지의 62.2%에 이르는 1백44억5천61만평을 소유(일제하에서도 상위

    중앙일보

    1990.04.20 00:00

  • 시서 철거민에 준땅이 사유지

    이 기사는 지난 71년 서울시의 무분별한 철거정책으로 피해를 본 봉천7동산35의2번지 일대 2백26가구 1천여 주민의 진정에 따라 취재 보도하는 것이다. 관악산기슭 낙성대뒤 봉천7

    중앙일보

    1986.03.24 00:00

  • ▲전영진(전북·지역협의회장)=총선거를 앞둔 제일 큰관심사는 지방자치제 실시다.지자제실시는 재정자립도 가관건이라고 하는데 우리당은 이를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있는가. 각 지역에 있는

    중앙일보

    1984.08.10 00:00

  • 나무와 꽃과 돌의 정원 경염

    인간의 정서를 일깨우고 정신생활에 휴식을 주는 정원. 나무와 꽂과 돌, 그리고 인간의 미적 감각을 살려서 만들어 낸 정원은 나라따라 사회따라 또 거주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달해왔다.

    중앙일보

    1984.05.25 00:00

  • 도심재개발은 신중하게

    최근 서울시의 도심재개발사업이 올림픽 등 국제행사를 의식하여 속성으로 개발을 성사시키겠다는 목표아래 추진되는 것 같아 재고를 바란다. 한번 개발을 했으면 세계 어느 도시에도 손색이

    중앙일보

    1983.11.25 00:00

  • 서울도심 재개발

    도시재개발은 도시기능의 극대화, 공간활용의 효율화를 위해서 필요한 도시건설 정책의 일환이다. 서울시가 도심 32개지역을 재개발지구로 지정하고 86년까지 대형빌딩을 짓도록 한 것은

    중앙일보

    1983.11.09 00:00

  • ″항구엔 아파트가 더 좋아″

    ○…4, 5일 경남북을 다녀온 뒤 일요일인 6일에도 전남지역 수해복구현장 시찰에 나선 전두환대통령은 침수지역인 목포시 산정1동 일대를 둘러보며 골목길에서 하수구 복구작업중인 주민들

    중앙일보

    1981.09.07 00:00

  • 도시미관 우선, 하수처리 소홀 진해|하 상이 시가지보다 높아 불안 하동|하천부지에 공장·주택 들어서 진주

    최고 5백10㎜(하동)의 호우가 쏟아져 큰 피해를 낸 영·호남의 수해는 단순한 천재만은 아니었다. 도시미관만을 고려해 하수처리능력을 도외시한 채 하천을 복개(진해시)했거나 54년

    중앙일보

    1979.08.28 00:00

  • 블록식 건물번호제 실시 시방침

    주거표시제(건물번흐제)를 실시키로 방침을 세우고 전문가와 실무자로 「중앙단위주거표시심의회」설치와 관계법규의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 8월에 착수한 신주거표시 도상 시험 적용작

    중앙일보

    1973.03.16 00:00

  • 사직·보문 2·양평·명동 등에 10월부터 신 주거 표시제

    서울시는 내무부의 주거 표시제 실시 계획에 따라 종로구 사직동 (구 시가지) 중구 명동 (상업지) 동대문구 보문 2동 (신시가지) 영등포구 양평동 (공장지) 등 4개 동에 대한 「

    중앙일보

    1972.08.01 00:00

  • l3만 판잣집 완전철거

    서울시는 금년하반기부터 70년까지 서울시내에 산재하고 있는 판잣집 13만동을 완전철거하고 이들판자집 철거민들은 연립「아파트」와 서울시가 계획하고이쓴 위성도시에 분산집단이주시킬 계획

    중앙일보

    1968.10.05 00:00

  • (4)항도 실격-부산(하)

    항구 없는 부산은 없고 해수욕장 없는 해운대는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부산시는 관광지를 망쳐버릴 계획을 꾸미면서도 항구 또한 살리는 것에도 신경을 쓰지 못하고있다. 「제1신 부산」

    중앙일보

    1966.04.06 00:00

  • (2)성급한 재출발(상)|부두구획 정리

    『넓히자, 뚫자, 세우자…그리하여 앞지르자』-3백만 항도로 약진하려는 「대부산」의 건설구호다. 3백60여 평방「킬로」나 되는 부산지역 어디를 가나 파헤쳐지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중앙일보

    1966.03.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