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의술·인성 겸비한 따뜻한 의사 양성이 목표”

    “의술·인성 겸비한 따뜻한 의사 양성이 목표”

    고려대 의대의 교육환경은 국내에서 최고 수준이다. 인력·시설·연구역량 등 교육 실현을 위한 요건을 두루 갖췄다. 고대 의대가 걸어온 길은 남다르다. 외형을 키우기보다 내실을 다져

    중앙일보

    2015.01.19 00:01

  • 에볼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

    서아프리카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기니 등의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이 발병자 1만3042명, 사망자 4818명의 대재앙으로 번지고 있다. 이에 대응할 백신은 이미 2003년부터 여러

    중앙일보

    2014.11.15 20:29

  • [j Story] 임지순 “소통과 설득, 과학에서 배워라”

    [j Story] 임지순 “소통과 설득, 과학에서 배워라”

    “골방서 나와 대화하라, 설득하라, 인정하라” 서울대 임지순 (60·물리천문학부) 석좌교수는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고체물리학자다. 이달 초 학술단체 중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과

    중앙일보

    2011.05.21 01:24

  • 임지순 교수, 한국인 세번째 미 과학학술원 회원

    임지순 교수, 한국인 세번째 미 과학학술원 회원

    임지순(60·사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미국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인 과학학술원(NAS) 회원으로 선출됐다. 서울대는 4일 임 교수가 ‘전산고체물리학’이라는 새 학문 분야를

    중앙일보

    2011.05.05 00:29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258) 백신의 모든 것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258) 백신의 모든 것

    지난해 말 한반도를 강타한 구제역. 그나마 백신 2차 접종이 완료되면서 더 이상 번지지는 않는 모양새다. 2009∼2010년에는 신종 플루가 기승을 부렸다. 다국적 제약사의 독감

    중앙일보

    2011.03.08 00:06

  • 국내 1호 백신 개발팀, 유행성출혈열 걸려 위기도

    국내 1호 백신 개발팀, 유행성출혈열 걸려 위기도

    백신 개발자들은 때로는 세균ㆍ바이러스 같은 미생물과 싸움에 목숨을 걸어왔다. 미생물을 배양하며 실험하는 과정에서 한순간의 실수로 연구자가 무서운 질병에 감염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

    중앙선데이

    2009.12.20 00:37

  • 서재필의학상 이호왕씨

    서재필의학상 이호왕씨

    이호왕(80·사진) 고려대 명예교수가 8일 서재필기념회(이사장 백낙환 인제대 백병원 이사장)에서 주는 제6회 서재필의학상을 받았다. 이 명예교수는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

    중앙일보

    2009.12.09 01:43

  • 이호왕 전 학술원 회장 일본학사원 명예회원

    이호왕 전 학술원 회장 일본학사원 명예회원

    전 학술원 회장인 이호왕(80·사진) 박사가 최근 열린 일본학사원 2009년도 정기총회에서 명예회원으로 선정됐다. 한국인 자연과학자로서는 처음이다. 일본학사원은 일본 학술발전에 기

    중앙일보

    2009.03.24 01:05

  • 세균 크기의 100분의 1…구조 단순해 변이 쉬워

    세균 크기의 100분의 1…구조 단순해 변이 쉬워

    전염병이라고 하면 흔히 ‘나쁜 균’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엄밀히 말하면 전염병의 원인은 두 종류다. 세균(박테리아)이냐, 바이러스냐. 중세 유럽인을 몰살한 페스트(흑사병)는

    중앙선데이

    2008.05.18 00:59

  • [메트로가이드] 이호왕 의학박사의 기념비가 준공 外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예방 백신과 진단법을 개발한 이호왕(79) 의학박사의 기념비가 준공됐다. 경기도 포천시의사협회는 1

    중앙일보

    2007.10.19 05:41

  • 김진송의 드로잉 에세이-벌레와 목수

    김진송의 드로잉 에세이-벌레와 목수

    벌레를 바라보는 수많은 눈이 있었다. 내가 그랬듯이 대부분은 벌레를 그저 벌레 보듯 했다. 벌레들이 지상에서 인간에게 받는 수모는 상상을 초월한다. 지상을 점령한 우세종이 인간이

    중앙선데이

    2007.04.27 02:22

  •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는 3인] 학술원 이호왕 회장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과학기술인이 존경받는 사회가 돼야 발전이 있습니다. 아직 멀었어요." 대한민국 학술원 이호왕(75.사진) 회장은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사실에 대해 "역사적

    중앙일보

    2003.01.22 16:39

  • [건강 신간] 바이러스와 함께 한 인생

    [건강 신간] 바이러스와 함께 한 인생

    본지 연재물 '남기고 싶은 이야기'에 게재된 이호왕 박사의 '바이러스와 반세기'(사진)가 책으로 나왔다. 학술원 회장인 이박사는 1976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한

    중앙일보

    2002.12.24 11:06

  • 바이러스와 함께 한 인생

    본지 연재물 '남기고 싶은 이야기'에 게재된 이호왕 박사의 '바이러스와 반세기'(사진)가 책으로 나왔다. 학술원 회장인 이박사는 1976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한

    중앙일보

    2002.12.24 00:00

  • 자랑스런 서울대人 박맹호·손길승·이호왕씨

    서울대는 26일 제12회 자랑스런 서울대인으로 박맹호(朴孟浩·68·불문학과·(左))민음사 사장·손길승(孫吉丞·61·상대·(中)) SK그룹 회장·이호왕(李鎬汪·74·의대) 대한민국

    중앙일보

    2002.09.28 00:00

  • 이호왕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美학술원 첫 한국인 회원에

    이호왕(鎬汪·74)대한민국학술원 회장이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미국학술원 정기총회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회원에 선출됐다. 회장은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인 한탄바

    중앙일보

    2002.05.07 00: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국민 건강소망을 이루기 위해선…

    우리나라 사람들의 반은 새해 소원으로 건강을 꼽았다. 그 소원이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의한 '단순히 질병이나 불구가 없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육체적.정신적 및 사회적 안녕

    중앙일보

    2002.01.14 00:00

  • 학술원 회장 이호왕 박사 "스트레스에는 마음의 여유가 최고의 약"

    "바이러스 연구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습니다. 출혈열 혼합백신과 뎅기열 진단키트도 마저 개발해야지요. " 1월 12일자로 본지의 연재물 '남기고 싶은 이야기(96편 바이러스와 반세기

    중앙일보

    2001.09.19 13:36

  • ['남기고 싶은 이야기' 96회로 마감한 이호왕박사]

    "바이러스 연구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습니다. 출혈열 혼합백신과 뎅기열 진단키트도 마저 개발해야지요. " 1월 12일자로 본지의 연재물 '남기고 싶은 이야기(96편 바이러스와 반세기

    중앙일보

    2001.01.1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63)

    63. 외국서 야외 임상시험 국방부의 반대는 일견 타당했다. 그러나 행여 옹졸한 국수주의가 개입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당시 유행성출혈열은 미군에서 매년 3~4명 발생한

    중앙일보

    2001.01.10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61)

    61. 예방백신 개발 인류가 역질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예방백신과 항생제 덕분이다. 예방백신이 방패라면 항생제는 창에 비유된다. 둘 다 중요하지만 굳이 비교한다면 백신

    중앙일보

    2001.01.0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58)

    58. 진단키트 개발 필자의 글을 읽고 최근 미국 뉴욕에 사는 한 교포로부터 연락이 왔다. 자신도 80년대 중반 원인 모를 고열에 시달린 적이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유행성출혈열

    중앙일보

    2001.01.03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54)

    54. 한국 쥐의 미국 진출 쥐는 포유동물 가운데 가장 헤엄을 잘 치는 동물 중 하나다. 사람처럼 수영을 따로 배우지 않아도 본능적으로 물을 헤쳐나간다. 필자는 유행성출혈열 연구차

    중앙일보

    2000.12.26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52)

    52. 실험용 쥐 사냥 많은 사람들이 쥐를 백해무익한 동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의 입장에선 쥐만큼 소중한 동물도 없다. 교배기간이 짧아 불과 몇 달 만에 새끼를 낳는데다 인

    중앙일보

    2000.12.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