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일 생사회담 4월 재개키로

    제2차 한일 생사 회담은 한국산 생사 및 견년사, 견직물의 77년도 대일 수출 물량에 합의를 보지 못한 채 오는 4월초 동경에서 다시 회담을 갖기로 하고 11일 폐막했다.

    중앙일보

    1977.03.12 00:00

  • 대일 입초 12억9천만불

    작년도 우리나라의 전체 한인 초과액이 6억5천8백만「달러」였는데 비해 일본으로부터의 입초가 12억9천7백만「달러」에 달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은 한국에 30억9

    중앙일보

    1977.03.12 00:00

  • 대일 생사 수출 쿼터 싸고 이견

    한국산 생사 및 견 연사의 대일 수출「쿼터」조정을 위한 올해 제2차 한일 생사회담은 11일 외무부에서 이틀째 회의를 열어 물량절충을 벌였다. 회담에서 한국측은 작년도 일본 국내 생

    중앙일보

    1977.03.11 00:00

  • 주한미군 철수반대 아주 각국에 불안감

    【동경10일 동양】 자민당 안보조사회(회장 판전도태)는 9일 주한 미 지상군의 철수문제는 한일 양국과 중분한 협의를 거친 후 신중히 처리되어야 하며「카터」대통령의 도의 외교는 높이

    중앙일보

    1977.03.10 00:00

  • 신민당 의원단 방소 주선요청

    【동경25일 합동】일본을 방문중인 이철승 신민당대표최고위원은 「후꾸다」 수상과의 회담에 이어 25일 상오에는 민사당사를 방문, 「가스가·익고」 민사당위원장과 약30분에 걸쳐 한일간

    중앙일보

    1977.02.26 00:00

  • 소서 원하면 대화용의

    【동경=김경철특파원】한일외상회담에 참석했던 박동진 외무장관은 지난 19일 일본 「마이니찌」신문과 회견하고 소련이 희망한다면 한반도 문제해결을 위해 소련과도 접촉할 용의가 있다고 말

    중앙일보

    1977.02.21 00:00

  • 박 외무, 복전 수상과도 회담

    【동경 19일 동양】일본을 방문중인 박동진 외무부장관은 19일 상오9시20분부터 약30분 동안 「후꾸다」일본수상을 방문. 한일양국간의 제반 현안문제에 대해 협의를 가졌다. 박 장관

    중앙일보

    1977.02.19 00:00

  • 한·일 각료회담 9월초에 개최

    【동경=김경철특파원】박동진 외무장관과 「하도야마」일본외상은 18일 제9차 한일 정기각료회의를 오는 8월 하순부터 9월초 사이에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박 장관과 「하도야마」외상은 일

    중앙일보

    1977.02.19 00:00

  • "한국의 식량자급에 놀라"

    18일 「하도야마」외상 접촉을 끝낸 박동진 외무장관은 『이번 동경회담에서 가장 성과를 든다면 제9차 한일정기각료회의 개최일정을 합의본 것』이라고 평가. 「오오히라」자민당 간사장은

    중앙일보

    1977.02.19 00:00

  • "한반도균형 깨지는 것 불원"

    【동경=김경철·고흥길기자】박동진 외무부장관과 「하드야마」일본외상은 17일 하오8시부터 11시까지 3시간 동안 주한미군 철수문제, 한일 대륙붕협정의 일본측 비준, 재일 한국인의 법적

    중앙일보

    1977.02.18 00:00

  • 소에 한국과 대화토록 촉구

    【동경 18일 합동】일본 민사당의 「가스가·잇꼬」위원장 등 당 간부들은 17일 밤 동경에서 「드미트리·폴리얀스키」주일소련대사와 회담하고 한국과 소련과의 대화를 제의했다고 일본의 유

    중앙일보

    1977.02.18 00:00

  • 서산일본대사 귀국 한일외상회담 배석

    【동경 16일 AFP동양】「니시야마·아끼라」 주한일본대사는 본국 정부와의 정무협의차 16일 밤 귀국했다. 「니시야마」대사는 17일 일본외무성에서 열리는 박동진 외무부장관과 「하드야

    중앙일보

    1977.02.17 00:00

  • 박 외무, 일·미 외상과 연쇄회담-오늘밤 동경· 3월8일 「워싱턴」서

    한일 외상회담이 17일 저녁8시부터 2시간동안 동경의 일본외무성에서 열린다. 작년12월 일본 「후꾸다」내각출범이후 처음 갖는 양국 외상회담에서 박동진 외무부장관과 「하도야마·이이찌

    중앙일보

    1977.02.17 00:00

  • 박 외무, 오늘하오에 출국

    박동진 외무장관은 한일외상 회담에 이어 26일부터 3일간 호주의 「시드니」에서 열리는 아주지역 공관장회의 및 대양주3개국(호주「뉴질랜드」「파푸아-뉴기니」)공식방문을 위해 17일 하

    중앙일보

    1977.02.17 00:00

  • "대륙붕협정 비준 노력 한반도평화 정착 위해 긴밀 협조"

    【동경=고흥길기자】일본을 방문중인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한일의원연맹 한국측 회장 자격으로 17일 상오 「후꾸다」수상을 수상관저로 방문, 약 50분간 요담 했다. 김 전 총리는 요담

    중앙일보

    1977.02.17 00:00

  • 김종필 의원 오늘 동경 착

    【동경=고흥길 특파원】대만을 방문중인 김종필 의원은 한일의원연맹총회 참석 차 14일 밤 10시30분 동경에 도착한다. 김 의원은 총회를 마친 후 한일의원연맹 한국 측 회장 자격으로

    중앙일보

    1977.02.14 00:00

  • 정 의장, 복전 수상과 회담

    【동경=고흥길 특파원】정일권 국회의장은 10일 상오「후꾸다」일본수상 관저에서 회담, 한일간의 기본관계를 재확인하는 한편 한반도 안보문제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다. 정 의장은 이어 이

    중앙일보

    1977.02.10 00:00

  • 일, 독도문제에 상반된 입장

    【동경=김경철 특파원】일본 외무성은 지난 5일 참의원 본회의에서「후꾸다」일본 수상이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한 발언에 관해 한편으로는 이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다

    중앙일보

    1977.02.08 00:00

  • "대마도 영유 주장하면…"

    독도영유권을 주장한「후꾸다」일본수상의 발언을 두고 일본「매스컴」이『오는 18일 열릴 한일외상회담에서 박동진 외무부장관이 이 문제를 거론할 것이다』『일본측은 국제사법재판소에 한국이

    중앙일보

    1977.02.08 00:00

  • "독도는 우리 땅"…그 역사적·법적 근거|박관숙

    태평양전쟁 종결에 따르는 패전국 일본의 영토처리는 43년의「카이로」선언에서 51년 대일 강화조약에 이르는 일련의 법적 조치에 의해 이미 완결을 보았지만 독도에 관해서 만은 을사조약

    중앙일보

    1977.02.07 00:00

  • 무애의 부음

    무애(양주동 박사의 아호)는 스스럼없이 자신을「국보」라고 불렀었다. 제자들이나 주위의 사람들이「국보교수」로 별칭 하는 것을 오히려 흐뭇해하기까지 했다. 무(무)애는 언젠가 한 잡문

    중앙일보

    1977.02.05 00:00

  • 생사 대일 수출 자율 규제키로

    【동경=김경철 특파원】한-일 양국정부는 3일 종료된 한-일 섬유회담에서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한국산 생사·견 연사의 대일 수출량을 잠정적으로 1만 짝으로 하고 ▲견직물에 한해서

    중앙일보

    1977.02.04 00:00

  • 동북아 방위구조 손상 안 시키겠다.

    【워싱턴 외신종합】10일간의 서구 및 일본방문을 마치고 1일「워싱턴」에 도착한「먼데일」미 부통령은 공항 기자회견에서 주한미군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되 동북「아시아」의 방위 구조에 손상

    중앙일보

    1977.02.02 00:00

  • 양국 제시 쿼터 2만짝 차이

    【동경=김경철 특파원】올해 생사·견연사 및 견직물의 대일 수출원칙을 마련하기 위한 한일생사회담이 31일부터 일본동경에서 열렸다. 한국 측에서 이창수 외무부 통상국장이 수석대표로 참

    중앙일보

    1977.01.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