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e이슈!아슈?]'알코올 가루' 한잔 할까?

    [e이슈!아슈?]'알코올 가루' 한잔 할까?

    ◆ '대단히, 새로운, 한정판' 태국 과자에도 부는 '한류' ↑네티즌 '낫티'님이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려놓은 태국의 할인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어 디자인 봉지의 과자 외국의

    중앙일보

    2007.06.10 00:16

  • [me] 한글 그 매력적 디자인에 눈뜨다

    [me] 한글 그 매력적 디자인에 눈뜨다

    소설 '대지'의 작가 펄 벅은 "한글과 견줄 만한 언어는 세계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한글의 과학성과 아름다움에 이제야 눈을 뜬 것일까요. 동남아에서는 한글이 적힌 자동차.

    중앙일보

    2006.05.24 21:30

  • "단순 상품·서비스론 경쟁력 유지 어렵다"

    "단순 상품·서비스론 경쟁력 유지 어렵다"

    "거창한 기술개발만이 혁신은 아닙니다. 문화와 디자인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면 모든 게 혁신입니다." 산업연구원 주최 산업발전비전 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중앙일보

    2006.01.19 20:11

  • [내 생각은…] 세계속에 '문화·경제 영토' 넓혀 가자

    한 나라의 영토는 그 나라 국민의 생활 터전이다. 인위적인 사항이 될 수는 없으나 국민 생활의 수준과 양상에 따라 필요한 영토의 크기는 달라질 것이다. 한 나라의 자족 경제체제를

    중앙일보

    2004.10.21 18:42

  • [틴틴 경제] '이코노미 프로젝트' 15개 팀 선발

    [틴틴 경제] '이코노미 프로젝트' 15개 팀 선발

    ▶ 틴틴 이코노미 프로젝트에 참여할 15개 팀이 확정돼 본격적인 창업에 들어갔다. 서울 미림여자정보고 '미벤'팀 학생들(上)은 지도교사와 함께 전자상거래 소호몰을 운영하기로 했고,

    중앙일보

    2004.04.28 17:51

  • 김해 '프리즘' 일본 등서 인기

    경남 김해시 한림면 ㈜프리즘이 7가지 색깔로 글자나 도안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개발,일본인을 놀라게 하고 있다. 화제의 상품은 ‘매직 프리즘’.아크릴 판에 글자나 도안을

    중앙일보

    2003.04.10 19:08

  • [열린 마당] 의류 한글상표 많아졌으면

    최근 겨울옷을 구입하러 대형 의류상가들을 돌아다녔다. 그런데 옷의 상표는 물론 디자인에 이용된 글자들까지 한결같이 영문 알파벳이어서 실망스러웠다. 물론 우리 주변에 영어 알파벳이

    중앙일보

    2003.01.07 18:40

  • 외국 기업들 "한국 소비자 입맛에 딱 맞게" '맞춤'으로 시장 공략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에 요즘 글로벌 본사로부터 '특명'이 떨어졌다. 한국 시장과 소비자를 겨냥해 맞춤 상품을 개발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생산기지를 한국에 둔

    중앙일보

    2002.06.19 00:00

  • 전통 문양 이용한 신발 · 양말 전시회

    전통 문양을 이용한 신발.양말 전시회가 열린다. 전통을 이용했다고 해서 짚신이나 고무신, 버선 같은 것들을 연상하지는 마시길. 이 자리에서 선보이는 건 세련된 운동화와 양말들이다.

    중앙일보

    2001.07.12 00:00

  • 기술력으로 세계제패 노리는 '오뚜기'

    휴먼컴은 80년대 벤처기업이다. 회사의 연륜으로만 따지자면 테헤란밸리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힌다. 벤처의 1세대인 셈이다. 물론 그때는 벤처니 펀딩이니 하는 용어들도 없을 때였

    중앙일보

    2001.04.25 16:27

  • 2000년 하드웨어 시장은…

    2000년은 인터넷 열풍이 시장을 달군 한 해였다.이에따라 PC ·정보가전 등 신제품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소비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졌다. 성능을 한단계 높였거나, 인터넷을 보다 편

    중앙일보

    2000.12.26 11:46

  • 2000년 하드웨어 시장은…

    2000년은 인터넷 열풍이 시장을 달군 한 해였다.이에따라 PC ·정보가전 등 신제품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소비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졌다. 성능을 한단계 높였거나, 인터넷을 보다 편

    중앙일보

    2000.12.26 11:46

  • [2000년 하드웨어 시장은…]

    '인터넷 PC에서 디지털 가전까지' 2000년은 인터넷 열풍이 시장을 달군 한 해였다.이에따라 PC ·정보가전 등 신제품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소비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졌다. 성능을

    중앙일보

    2000.12.26 00:00

  • [2000년 하드웨어 시장은…]

    '인터넷 PC에서 디지털 가전까지' 2000년은 인터넷 열풍이 시장을 달군 한 해였다.이에따라 PC ·정보가전 등 신제품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소비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졌다. 성능을

    중앙일보

    2000.12.25 16:11

  • [외국인 칼럼] 한국의 강점을 살려라

    I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서울에 단풍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10월에 들어와서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는 바람에 올해 단풍은 더욱 색깔도 선명하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언제

    중앙일보

    2000.10.28 00:00

  • [월요 인터뷰] 세계디자인대회 안상수 집행위원장

    안상수(48.홍익대 시각디자인과)교수. 1985년 독특한 한글서체 '안상수체' 를 개발, 인쇄문화에 새 바람을 일으킨 인물. '이상체' '미르체' '마노체' 등을 차례로 선보이며

    중앙일보

    2000.10.23 00:00

  • 신문사 대북 사이트, 정부보다 낫다

    북한과 관련된 남북한 정부 유관 기관 사이트와 국내외 연구소 사이트, 언론사 사이트들을 북한 연구자의 입장에서 평가한 결과, 특히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 대부분 정부 유관 기관 사

    중앙일보

    2000.07.11 10:53

  • 다국어 만화사이트가 뜬다

    현재 우리나라에 오픈되어있는 만화사이트는 한정되어 있는 컨텐츠를 어떻게 먼저 끌어올까 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트의 공통점이 또 한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딱 부러지는

    중앙일보

    2000.05.12 16:59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 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중앙일보

    1999.12.23 09:51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6.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살다

    중앙일보

    1999.12.23 00:00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6.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살다

    중앙일보

    1999.12.22 19:37

  • [새상품]프린터 잉크 30초만에 재충전 外

    *** 프린터 잉크 30초만에 재충전 ◇ 이지텍은 기존 컴퓨터 프린터 리필기기와는 달리 카트리지와 잉크를 장착한 뒤 한번만 밀어주면 30초만에 잉크 리필이 완료되는 '이지필' 을

    중앙일보

    1999.01.08 00:00

  • [커버스토리]휴대폰 시장 '비상신호'

    연 4조원 규모의 휴대폰 단말기 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이동전화 사업자인 SK텔레콤이 직접 단말기를 만들어 공급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SK텔레콤은 휴대폰 가입자 5백52만

    중앙일보

    1998.10.02 00:00

  • [한국의 모험기업]지오인터렉티브 엔터테인먼트…신SW부문 대상

    인터넷 콘텐츠개발업체인 '지오인터렉티브 엔터테인먼트' (이하 지오) 직원들은 98년들어 각오가 남다르다. 지난해 8월 설립될 때만해도 지오는 무명의 한 벤처기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중앙일보

    1998.0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