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상) 미-소의 한국연구

    작년 11월「하버드」대학에 진 객 한사람이 다녀갔다. 「모스크바」에 있는 소련국립과학「아카데미」의 한국연구부장을 맡고있는「게오르그·김」박사다. 소련국적의 한국인 2세. 그의 부친은

    중앙일보

    1972.07.14 00:00

  • 미국서 잠시 귀국한 동물 생리학의 권위 민홍식 박사

    『기억을 위한 주입식 교육이 배격돼야 하는 것은 물론 이지만 그렇다고 학문하는데 있어서의 기억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안될 소리입니다. 창조적인 연구는 머리에 들어있는 광범한 기

    중앙일보

    1972.06.28 00:00

  • 『한국인 경제의식』의 변천

    「크리스천·아카데미」는 28, 29일 「한국인의 재발견」을 주제로 한 일련의 「세미나」의 세 번째로 「한국인의 경제의식」문제를 다뤘다. 이날 발표자는 「전통사회한국인의 경제의식」(

    중앙일보

    1972.05.01 00:00

  • 흥사단 개척 강좌 3월에 5회 열어

    흥사단은 3월의 금요개척자 강좌를 매주 금요일 하오5시30분 대성「빌딩」강당에서 갖는다. ▲3일=주체성과 사명감(안병욱 교수·숭전대) ▲10일=교육입국론(한기언 박사·서울대사대)

    중앙일보

    1972.03.01 00:00

  • 주체의식 정립에의 발돋움|역저를 통해 본 '71년의 「한국학」

    71년의 한국학계는 주체의식의 정립을 학문의 토대 위에서 찾으려는 움직임과 학문연구의 수준을 세계적인 것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것 같다. 「한국학」연구를 세계

    중앙일보

    1971.12.23 00:00

  • 활발한 소련에서의 한국어 연구

    소련의 한국학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깊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도 한국어연구는 주목되는 바 크다. 최근『아세아연구』통권42호(고대아세아문제연구소 간)는 67년 소련에

    중앙일보

    1971.10.14 00:00

  • 정신문화의 요람…향교

    한국에는 고유한 전통적 교육기관 내지 문화기관으로 향교가 있다. 그 규모나 기능에 있어서 향교가 한국민족문화에 끼친 공헌은 컸다. 근래 한국의 전통을 발굴하고 정리해야한다는 소리가

    중앙일보

    1971.08.09 00:00

  • 한국서 국제가족계획「세미나」 2일부터 9개국서 45명 참가

    「인구교육국제문제」를 주제로 한 국제가족계획「세미나」가 8월2일∼7일 「하와이」대 동서문화「센터」주최로 가족계획 연구원에서 열린다. 미국 「인도네시아」등 9개국의 45명 외국인 대

    중앙일보

    1971.07.30 00:00

  • 모국방문바라는 한국계 소련학자

    【호놀룰루=최규장 특파원】하와이대학 한국학 연구원의 창설을 계기로 이곳을 방문중인 소련의 저명한 한국계 한국학자는 이번 기회에 한국방문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련과학

    중앙일보

    1971.06.12 00:00

  • 예방접종만이 안전방지책 아니다

    경남 창녕군의 집단괴질이「콜레라」로 밝혀져 보사부는 창녕군 일원에 「콜레라」방역 비상망을 펴고 서울특별시를 비롯, 전국에 「콜레라」 방역 비상 근무령을 내렸다. 이때 『작년에 유행

    중앙일보

    1970.08.13 00:00

  • 주먹구구벗는 가족계획|스웨덴지원으로 센터발족

    주먹구구식이던 우리 나라 가족계획사업을 과학적인 자료로써 뒷받침할 가족계획센터가 지난 2일 문을 열었다. 스웨덴의 국제개발처(SIDA)에서 45만달러를 지원, 국립보건연구원(서울서

    중앙일보

    1970.06.29 00:00

  • 대한암협, UICC 총회에 대표파견

    1966년 4월8일 대한암협회(회장 이병철) 가 창설된 후 68년에는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학술 및 사업단체인 UICC(국제대암연맹) 에 정식회원국으로 가입하여 오는 2

    중앙일보

    1970.05.08 00:00

  • 한국전자공업의 내일|미 벨연구소 강대원 박사 귀국 회견

    『한국에서의 전자공업의 앞날은 밝습니다. 그러나 세심한 배려와 커다란 노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서 근래 해마다 두 개씩의 특허를 얻고 3개씩의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한국의 두뇌

    중앙일보

    1968.09.12 00:00

  • 활용하는 연구로

    상아탑 속에서의「연구」라면 하나의 논문을 완성하는것으로 할일을 다했다고 해도 나무랄 사람이없다. 사실 우리나라 대학 혹은 연구소에서의「연구」는 거의가 그랬다. 시간에좇길 필요도 없

    중앙일보

    1968.09.05 00:00

  • (2) 대학교육기관을 찾아서

    8·15때도, 동란당시 북진할때도, 우리는접수정책에 실패했다. 너무도 사전준비가 없었기 때문이다. 질때보다 이길때가 얼마나 더 어려운가를 뼈저리게 깨달았다. 또 지금 조국통일이란

    중앙일보

    1968.05.21 00:00

  • 화학공업의 총아「분자체」

    화학공업의 여러분야서 널리 쓰이는 흡착제에대한 전문가로 미국에서 높이 평가되고있는이한주박사가 지난8일 1개월 체류예정으로 귀국했다 이박사는 흡착제중에서도 최근 크게 각광을 받게된

    중앙일보

    1968.04.13 00:00

  • 한국이 낳은 유화공업의 「두뇌」 | 이덕희박사 회견기

    땅에서나오는「검은 꽃」이라는 석유만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공업원료는 없다. 그 석유를 이용하는 공업이 바야흐로 우리 나라에 싹트려고 하는 이때 최근 미국서 석유화학공업을 전공한

    중앙일보

    1967.12.21 00:00

  • 조영수·정규명에 사형 | 동백림사건 전원 유죄선고 |

    [동백림을 거점으로한 대남 적화 공작단 사건]의 피고인 조영수(34·정박·외대강사) 정규명(39·프랑크푸르트대학 이론물리학 연구원)등 2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13일 상오 서울

    중앙일보

    1967.12.13 00:00

  • 북괴 대남 공작단 사건

    ◇인적사항 ▲구속 정규명(39세) 물리학 석사 본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자동 108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45 거처 서독 그라헨부르크 암체스트 하우스 52 프랑크푸르트

    중앙일보

    1967.07.13 00:00

  •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발족 10개월의 명암

    한·미 두나라 대통령의 합의에 의해 지난 2월 발족된 한국과학기술연구소는 아주 맑은 전망 속에 한해를 보냈다. 특히 재미과학자의 귀국을 권유하기 위해 도미했던 최형섭 소장은 95%

    중앙일보

    1966.12.22 00:00

  • 전진하는 우리 과학|한국과학기술연구소

    6일 아침 박정희 대통령이 건설의 첫 삽을 퍼 올린 홍릉의 한국과학기술연구소가 세워질 터 7만9천평이 아직은 이따금 새소리만 들리는 나무숲으로 덮여있다. 한국·미국 두 나라 대통령

    중앙일보

    1966.10.11 00:00

  • 태평양과학회의 개최|주목끈 「한국인 구학」|가족계획분위발표 논문10편중 5편차지

    지난8윌22일부터 동경에서 열렸던 제11회태평양과학회의는 3일총회에서 「유엔」에 인구문제의 토의에 우선을 부여하도록 권고하며 각국학술연구기관에 인구문제룰 연구하는기관을 설치하도록

    중앙일보

    1966.09.06 00:00

  • (8)자조정신의 필요|메리·가브리엘라·물헤린수녀

    한국에 있는 외국인들은 가끔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을 받는다. 이에대한 외국인 여행자들의 대답은『당신네나라는 매우 아름답소. 우리는 한국의산천과 푸른하늘을 좋아합니

    중앙일보

    1966.09.06 00:00

  • (끝)아세아재단

    평화·독립, 개인의 자유 및 사회발전의 달성에 힘쓰고있는 아세아 여러나라(14개국)에 미국의 민간원조를 이끌어 들이고 있는 「아세아재단」(The Asia Foundation)은 지

    중앙일보

    1966.06.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