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NEXT WEEK GUIDE

    NEXT WEEK GUIDE

    지성의 향연-‘문지문화원 사이’ 석학 강연6월 25일(월)~8월 24일(금) 문지문화원 사이문의: 02-323-4207출판사 ‘문학과지성’이 운영하는 ‘문지문화원 사이’(공동대표

    중앙선데이

    2007.06.16 16:41

  •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사주팔자, 풍수, 점(占)을 주특기로 가진 강호(江湖) 동양학자 조용헌. 조선시대와 일제와 근대를 거치며 탄압받아온 우리 이야기들을 오늘에 되살린다. 제도권의 눈으로 보자면 미신

    중앙선데이

    2007.04.15 06:48

  • 서울시문화상 수상자 13명 선정

    이상억(62) 서울대 국문과 교수 등 13명이 2006년 제55회 서울시문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서울의 문화발전과 문예진흥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서울시문화상은 1948년 제

    중앙일보

    2006.12.19 02:37

  • 바이칼호서 '한민족 뿌리' 캐는 당뇨 전문의

    당뇨병과 한민족의 기원. 연관이 없어보이는 두 분야를 동시에 연구하는데 20년을 바쳐온 사람이 있다. 당뇨병 전문의인 이홍규(62)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그는 우리 민족의

    중앙일보

    2006.02.20 09:39

  • 바이칼호서 '한민족 뿌리' 캐는 당뇨 전문의

    바이칼호서 '한민족 뿌리' 캐는 당뇨 전문의

    당뇨병과 한민족의 기원. 연관이 없어보이는 두 분야를 동시에 연구하는데 20년을 바쳐온 사람이 있다. 당뇨병 전문의인 이홍규(62)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그는 우리 민족의

    중앙일보

    2006.02.18 06:09

  • [새로나온 책] 스웨덴의 아동보육제도 外

    [새로나온 책] 스웨덴의 아동보육제도 外

    인문·사회 ◆스웨덴의 아동보육제도(오연주 등 지음, 학지사, 334쪽, 1만3000원)=세계 최고 수준의 아동보육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스웨덴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유아 교육 및

    중앙일보

    2005.09.30 21:10

  • [사람 사람] "전통미·IT 접목해 우리 문화 알리려 힘썼죠"

    [사람 사람] "전통미·IT 접목해 우리 문화 알리려 힘썼죠"

    1893년 조선은 시카고 엑스포장에 여덟 칸짜리 기와집을 지었다. 엑스포 사상 첫 한국관이었다. 그로부터 112년. 우리나라 전시관이 엑스포 사상 처음으로 디자인상을 받는다. 현

    중앙일보

    2005.07.05 05:34

  • [Book/꿈나무] 나는 무슨 씨앗일까?

    [Book/꿈나무] 나는 무슨 씨앗일까?

    나는 무슨 씨앗일까? 박효남 외 지음, 유준재 그림 샘터, 168쪽, 9000원 호텔 총주방장은 그 안에 들어 있는 모든 식당들의 주방과 조리사 수백명을 관리해야 하는 자리다. 때

    중앙일보

    2005.03.04 17:48

  • [문화 단신] 국제교류재단 外

    ◆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한국어와 영어를 대역한 '한국문화재 용어사전'(한림)을 펴냈다. 고고학.건축.미술사.민속학 분야에서 2824개 용어를 수록한 포켓용 소사전으로 한자.범어 등도

    중앙일보

    2005.01.21 18:47

  • '무진기행' 등 100권 한국 홍보책에 뽑혀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삼아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특별전시될 한국 책 100권이 뽑혔다.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회(위원장 이강숙)

    중앙일보

    2004.03.08 18:25

  • 민속학자 이두현 교수 소장자료 34000점 기증

    광복 이후 1세대 민속학자 이두현(李杜鉉.80) 서울대 명예교수가 평생 수집한 각종 소장자료 3만4천여점을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 기증했다. 이번 기증 자료는 李교수가 1

    중앙일보

    2004.01.13 18:54

  • '문화유산 지킴이' 활동 계속할 것

    "민속학이나 미술 모두 책상에서만 나오는 학문이 아니다. 그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라면 자기 분야와 관련된 문화 유산을 보존하는 운동에 무관심해서는 안된다." 6일 취임한 김홍남(5

    중앙일보

    2003.10.07 17:49

  • [인사동 '문우서림'대표 김영복씨] "빛바랜 古書 속에 빛이 있어요"

    인사동은 동네 자체가 한국문화의 기호다. 화랑·고서점·골동품점·지필묵방·공예품전,그리고 전통 음식점과 찻집 등이 즐비한 인사동은 우리의 전통 문화와 마음으로 오늘을 살아나가게 하

    중앙일보

    2002.12.23 00:00

  • 책꽂이

    ◇부동산학원론(조주현 지음, 건국대학교출판부, 2만2천원)=환란 이후 개방화·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시장 흐름에 따라 부동산 투자·개발·정책에 관한 의사결정과 시장분석에 비

    중앙일보

    2002.11.09 00:00

  • 中동포 사회에선 '망걸이 씨름' 성행

    한국의 씨름은 허리와 오른쪽 다리에 샅바를 매고 이를 붙잡고 한다. 이른바 '왼씨름'이다. 남한은 물론 북한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씨름을 한다. 그러나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는 한국

    중앙일보

    2002.11.05 00:00

  • 한국의 토속신: 한민족 의식세계 꿰뚫는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빠진 한국인, 과연 우리 토속신은 얼마나 알까. 아마 산신, 도깨비 정도를 넘어가면 궁색해질 것이다. 우리의 신화가 빈약해서가 아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중앙일보

    2002.08.30 00:00

  • [메트로와이드] 전문책방서 책 구해요

    추운 날씨로 움츠러들기 쉬운 계절.베스트셀러 등 대중의 구미에 당기는 책 위주로 전시된 일반서점보다 특정분야의 책만 갖춘 전문서점을 찾아 ‘나만의 독서’를 즐겨보자. 음악 ·디자인

    중앙일보

    2001.12.21 00:00

  • [니하오! 중국] 9. 수호지의 무대 산둥성

    중국에서 사나이를 일컫는 말 가운데 '한(漢)'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 앞에 좋을 호(好)자를 붙이면 '호한(好漢)'이 되는데, 훌륭한 남자 또는 영웅을 일컬을 때 사용한다. 중국

    중앙일보

    2001.10.24 00:00

  • '민속악 요람' 국악예고 개교 40주년 맞아

    "입학한 후 맨 먼저 배운 노래가 단가 '죽장망혜(竹杖芒鞋)' 였어요. 경기민요.가곡.시조.해금.거문고.가야금을 배웠고 방과 후에는 모든 학생들이 농악 연습에 참가했습니다. 저는

    중앙일보

    2001.09.14 08:16

  • '민속악 요람' 국악예고 개교 40주년 맞아

    "입 학한 후 맨 먼저 배운 노래가 단가 '죽장망혜(竹杖芒鞋)' 였어요. 경기민요.가곡.시조.해금.거문고.가야금을 배웠고 방과 후에는 모든 학생들이 농악 연습에 참가했습니다. 저는

    중앙일보

    2001.09.14 00:00

  • [경쟁력 키우려면] 전통적 소재로 '강소국' 노려야

    우리의 실력에 비춰볼 때 한국 콘텐츠 산업의 목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 삼성경제연구소 심상민 수석연구원은 "2004년까지 국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중앙일보

    2001.07.09 00:00

  • [경쟁력 키우려면] 전통적 소재로 '강소국' 노려야

    우리의 실력에 비춰볼 때 한국 콘텐츠 산업의 목표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 삼성경제연구소 심상민 수석연구원은 "2004년까지 국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중앙일보

    2001.07.08 18:58

  • 민속박물관, 고 장철수교수 기증품 공개

    지난해 11월 세상을 떠난 정신문화연구원 민속학분야 장철수(張哲秀.당시 55세)교수는 자신이 평생 모아온 책 1만6천5백여권과 3천5백여점의 사진 자료를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하라는

    중앙일보

    2001.04.20 00:00

  • [추석특집]추석연휴 읽을 만한 책들

    명절은 실은 기다릴 때가 좋은 법이다. 추석 전에야 마음 널널하게 연휴를 기다리지만, 막상 연휴가 끝날 즈음이면 해놓은 일도 없이 지나가버린 공휴일에 아쉬움을 느꼈던 경험은 누구에

    중앙일보

    2000.09.09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