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속강에 즈음하여 학생·학부모·교수에게|서울대총장 한심석

    편집자 주=다음은 조기 겨울 방학으로 인하여 부족했던 수업시간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충 수업을 실시하면서 한심석 서울대학교총장이 28일 발표한 담화문 전문이다. 친애하는 서울대학교

    중앙일보

    1974.01.28 00:00

  • 초·중·고 개학 2월 4∼9일에

    문교부는 21일 예년보다 20일 앞당겨 겨울방학에 들어갔던 전국 초·중·고교의 개학을 오는 2월 4일부터 9일 사이에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교부는 당초 오는 2월 10일 이후

    중앙일보

    1974.01.21 00:00

  • 내년 3월부터 실시 방송통신고교란?

    문=내년 3월부터 실시되는 방송통신고등학교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①방송 통신고등학교 학생이 될 수 있는 자격 ②연령제한 ③입학 ④방송시간 ⑤지역은 서울·부산 등 반드시

    중앙일보

    1973.12.03 00:00

  • 겨울 방학 앞당기기로|초·중·고교, 12월 4일부터

    문교부는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28일 유류난에 따른 「에너지」 소비 절약을 위해 방학 기간을 종전보다 1개월쯤 연장, 초·중·고교의 조기 겨울 방학을 실시키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

    중앙일보

    1973.11.28 00:00

  • 무기한 휴강

    【수원】지난9일부터 학생들의 수업거부사태로 휴교상태에 들어갔던 서울대농대는 20일하오2시 전체 교수회의를 열고 사실상 조기방학인 무기한 임시휴강 조처했다. 그러나 졸업반인 4학년만

    중앙일보

    1973.11.21 00:00

  • 법대 자진휴강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은 12일 상오11시부터 오는 16일까지 자진 휴강할 것을 결정했다. 법대는 12일 상오11시 학생들의 성토대회가 있을 것이라는 경보에 따라 학교측이 앞질러 휴강

    중앙일보

    1973.11.12 00:00

  • 여름 방학

    예년보다 빨리 닥친 무더위 때문에 국민학교와 중학교의 여름 방학이 앞당겨 진다. 대학도 대체로 이미 종강이 된 형편인데, 그렇다면 왜 하필 고등학교만 떼어놓는 것인지, 좀 납득이

    중앙일보

    1973.07.14 00:00

  • 전국대학 1일 일제히 개학

    휴교중인 전국 각 대학이 휴교 45일만에 오는 12월 l일부터 일제히 문을 연다. 문교부는 29일 전국 71개 대학교와 13개 초급대학 등 84개 대학 당국에 오는 12월 1일부터

    중앙일보

    1972.11.29 00:00

  • 화교학교는 정상수업 부산

    유엔의 날 기념행사가 부산에서 벌어진 24일 부산화교학교(부산시 동구 초량동)는 이날 행사와는 관계없이 1천6백여 각급 학교 학생들이 등교, 정상 수업을 했다. 화교학교는 작년까지

    중앙일보

    1972.10.24 00:00

  • 막 오르는 가을 축제

    서울대학장회의가 지난 8월31일 취한 서울대 개교이래 최대규모의 학사징계조치는 새 학기 대학가에 큰 충격을 던져주었다. 제적 82명, 경고 8백11명이란 최대규모의 학생징계는 71

    중앙일보

    1972.09.21 00:00

  • 27일만의 정상…대학가|오늘 고대 개강으로

    11일 휴업 중이던 고려대의 개강을 끝으로 지난달 l5일 휴업령으로 어수선했던 대학가는 27일만에 모두 정상 수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수업은 정상화 됐으나 휴업령, 자진

    중앙일보

    1971.11.11 00:00

  • 고대 11일 개강

    고려대학교는 8일 상오 10시 교수 1백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회의를 열고 오는 11일 개강키로 결정했다. 이로써 지난달 15일부터 휴업에 들어갔던 모든 대학이 개강했거나

    중앙일보

    1971.11.08 00:00

  • 17일만의 개강|앞으로의 문제점

    보름동안 8개 대학에 내려진 휴업명령이 해제되어 대학가는 표면적으로 정상을 되찾았으나 정상화 과정에서 겪은 진통과 시련의 상처가 상당히 깊어 허다한 문젯점을 남겨주었다. 정부의 전

    중앙일보

    1971.11.01 00:00

  • 개강채비…분주한 캠퍼스|휴업령 해제가 발표되던 날

    30일 상오 대학가의 휴업령이 해제됐다. 지난 15일 위수령발동으로 군 병력이 학원에 진주함으로써 내려졌던 휴업령은 학원사태가 정상화함으로써 15일만에 해제되어 11월1일부터는 대

    중앙일보

    1971.10.30 00:00

  • 대학가 앞으로의 문제

    휴업 영이 내려진 대학가는 법정수업 일수 등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6일부터 휴업 영으로 수업을 중단한 8개 대학은 물론이지만 그 밖의 많은 대학도 교련 미수강자

    중앙일보

    1971.10.16 00:00

  • 사대도 데모하면 휴업

    서울대학교의 4개 단과 대학에 대해 휴업명령을 내린 문교부는 이들 대학이 자체적으로 「데모」주동학생 처벌 등 앞으로의 「데모」요인 제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일 때까지 휴업령을 해지

    중앙일보

    1971.05.29 00:00

  • 「데모」·성토 등 계속으로 수업 못하는 대학가

    요즘 연이은 교련강화 반대 「데모」성토 등으로 휴강을 하지 않은 서울시내 일부 대학도 휴강 또는 강의시간 단축 등으로 사실상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16일 밝혀진 바에

    중앙일보

    1971.04.16 00:00

  • 데모 격화되면 총학장 재량으로…휴강 대학 늘어날 듯

    대학생들의 교련 강화 반대 「데모」가 격화할 경우 총·학장 재량으로 휴교 또는 휴강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3일 홍종철 문교부 장관은 법 정신에 따라 휴강 또는 휴교를

    중앙일보

    1971.04.13 00:00

  • 체육 진흥법 사문화

    각급 학교와 직장이 국민 체육에 관한 법규를 거의 외면, 국민 체육진흥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국민체육 진흥법을 비롯, 교육과정령·학교시설설치 기준령·학교신체검

    중앙일보

    1971.01.26 00:00

  • 법제화될 속결 민원|총2,140종 대통령령으로 규제

    정부는 2천1백40종의 각급 민원사무의 처리기간을 대통령령으로 일괄 규제, 법제화키로 했다. 대통령령으로 처리기간이 정해질 민원사무는 ①국민생활과 직결되는 민원(2백40) ②출원이

    중앙일보

    1970.10.20 00:00

  • 26일부터 실시

    서울시교육위원회는 16일 시내국민학교 겨울방학을 오는 26일부터 실시키로했다. 한편 3선 개헌안 반대 「데모」로 휴업했던 경기·서울·대광·동성·건국상·동국등 6개고등학교의 겨울방학

    중앙일보

    1969.12.16 00:00

  • 다시 문을 열게된 대학

    지난 여름이래 근 4개월간 문을 닫고 있던 대학들이 금주내로는 모두 개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1년 3백65일 하루도 그 기능을 쉴 수 없는 것이 대학의

    중앙일보

    1969.10.22 00:00

  • 대학 10월 중간에 개학|「투표전」원칙세워준비

    개헌반대 「데모」 로 휴강에들어갔던 전국의 41개대학이 10월초부터 늦어도 국민투표이전인 오는10윌15일까지 문을 열것같다. 27일 확인 된바로는 한달이상 학교문을 닫고있는 고려대

    중앙일보

    1969.09.27 00:00

  • 13일까지 휴교

    성균관대학교는 9일 상오 일단 학생들의「데모」로 정상수업을 할수없어 오는13일까지 임시휴교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성대호헌투쟁위원회의 학생78명은 8일하오2시부터 동교 중강당에 모여

    중앙일보

    1969.09.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