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땅밑도 인프라다

    외국의 국회의원들이 모이는 잔칫날 다시 대형사고가 터졌다.마포 지하철공사장에서 가스관을 잘못 건드려 불길이 치솟아 오른 것이다.원인은 잘못된 가스배관 도면 탓이라고 한다.비슷한 사

    중앙일보

    1997.04.16 00:00

  • 수질 나빠진 지하수 폐쇄하려면

    문:지하수를 끌어 식수로 사용하다가 빨랫물로 쓰기에도 어려울정도로 수질이 안좋아 폐쇄하려 한다.어떻게 해야 하나. 답:먼저 관할구청 하수과에 비치된 지하수개발이용폐쇄 신고서를작성,

    중앙일보

    1997.01.27 00:00

  • 麗川공단 폐수처리 중단

    전남 여천공단내 20여개 입주업체에서 발생한 폐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는 환경관리공단 여천사업소 중흥펌프장의 펌프 배관이 파열돼 하수처리가 전면 중단됐다.24일 환경관리공단 여

    중앙일보

    1996.12.25 00:00

  • 4분기-평화프라스틱工.경동 공동 수상

    중소기업청과 중앙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96년 4분기 중소기업기술혁신상 수상업체로 평화프라스틱공업과 ㈜경동등 2개 기업이 선정됐다. 76년 설립된 평화프라스틱은 PVC배관 전문업

    중앙일보

    1996.12.04 00:00

  • 도시가스 엉터리 공사 현장-곳곳 부실시공 도심의'뇌관'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아파트,초등학교 주변등…. 이번에 문제가 된 정압기 뿐만 아니라 우리의 「발밑」을 지나는 가스관도 언제,무슨 일이 발생할지 모르는 안전 사각지대이긴마찬가

    중앙일보

    1996.06.11 00:00

  • 하수도

    프랑스 파리엔 두개의 파리가 있다.하나는 땅위의 파리,다른 하나는 땅속의 파리다.파리 지하는 구멍투성이다.지하묘지와 하수도,그리고 지하철이 개미집처럼 뚫려 있다.지하묘지는 옛날 채

    중앙일보

    1996.05.15 00:00

  • 양재.마장동 일대 가스공급 일시중단

    서초구양재1,2동 하수도공사와 성동구 지하철5-36공구 공사에 따른 도시가스배관 이설작업으로 이 일대 도시가스 공급이 일시 중단된다. 중단지역은 8일 오후11시~9일 오전4시 양재

    중앙일보

    1995.08.08 00:00

  • 성북.강서 8천가구 가스중단-오늘 4시간~5시간반

    성북구동소문동과 강서구공항동 일대 8천여가구에 19일오후1시와 11시30분부터 각각 4시간,5시간30분씩 가스공급이 중단된다. 서울시는 18일 성북구동소문동6가 미아로확장공사와 강

    중앙일보

    1995.05.19 00:00

  • 하수관내 저장물 2,741개 移設-서울 서북부지역

    서울시는 3일 하수관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한 망원.마포등 서울서북부지역 2천3백92㎞의 하수관내 지장물 4천39개중 이미이설을 완료한 1천2백98개를 제외한 2천7백41개의 각종

    중앙일보

    1995.05.04 00:00

  • 가스사고 왜 되풀이되나-사고 잇따라도 마구잡이工事 강행

    아직도 정신을 못차려서인가,아니면 끊임없이 누출사고가 발생할수 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건가. 대구지하철가스폭발참사로 사회전체가 들썩거리고 있는데도 전국 곳곳에서 잇따라

    중앙일보

    1995.05.04 00:00

  • 주택가 지나는 소형가스管 圖面에도 아예없다

    서울에서 최근 잇따라 발생한 도시가스관 파손사고도 대구 도시가스 폭발사고와 유사한 유형으로 나타나 같은 사고가 어디서나 있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일부 도시가스관이 지하

    중앙일보

    1995.05.02 00:00

  • 3.汚水걸러서 中水道 허드렛물로

    서울 잠실 롯데월드. 이 거대한 유통.위락시설의 지하 4층에는 이용객들이 쓰고 버린 오수를 정화하는 중수도(中水道)시설이 자리잡고 있다.하수처리와 정수설비를 결합한 것과 같은 시설

    중앙일보

    1995.01.22 00:00

  • 기본조차 못갖춘 地下관리

    지하매설물의 종합관리체제와 종합지도 작성이 시급하다.이번 가스폭발사고에서 재확인했듯 서울의 땅밑엔 각종 위험시설물들이 그득하다.고압의 도시가스를 저압으로 바꿔 공급하는 가스정압(整

    중앙일보

    1994.12.09 00:00

  • 아현동 가스기지 위험성 日기술진이 지난달 지적

    서울마포구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를 수사중인 검경수사본부는 9일 한국가스공사측이 지난달 일본 가스전문회사와 합동 특별점검을 실시,이번에 사고가 난 아현가스공급기지가 가스관의 도색.

    중앙일보

    1994.12.09 00:00

  • 폐수방류업체와 단속 검찰사이에 숨바꼭질 계속돼-대구

    폐수 무단방류에 나선 검찰과 이를 피하려는 일부업체 사이에 숨바꼭질이 계속 되고 있다.폐수방류업체를 잡기 위한 검찰.환경청과 폐수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업체들의 아이디어(?)도 갖

    중앙일보

    1994.12.07 00:00

  • 12개 도시계획 결정권 구청장에 대폭 위임

    지금까지 서울시장이 가지고 있던 도로.주차장등 12개 소규모시설들의 도시계획 결정권이 3월부터 구청장에게 위임된다. 또 구청장의 도시계획에 대한 입안권도 10개 용도지역에서 13개

    중앙일보

    1994.02.26 00:00

  • 수돗물 폐.하수 지역책임제로-건국대 남상호교수

    「수돗물을 마음놓고 마실수 없다」는 시민이 78%(서울YMCA 조사)에 이를만큼 수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높은 가운데14일 서울YMCA 강당에서「수도권의 젖줄-한강 상수원 보호

    중앙일보

    1993.09.15 00:00

  • (2)쓰레기 처리, 대기오염 개선, 맑은 물 되살리기|주민기피 소각장 건설 난항

    매일 3만2천여t씩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쓰레기,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폐수와 매연 등으로「세계 제2의 공해」도시란 오명을 쓰고 있는 서울-. 서울시는 이 같은 오명을 벗기 위해

    중앙일보

    1993.01.12 00:00

  • 난지도가 문닫는다/서울시민의 「15년 쓰레받기」 마감

    ◎53만평 해발 80m 산으로 변모/지반 안정될때까지 공원 활용 14년 8개월동안 서울의 쓰레기를 매립해왔던 거대한 쓰레기산 난지도가 금주중 문을 닫는다. 그동안 환경오염 등을 이

    중앙일보

    1992.11.03 00:00

  • 월남전 참전 40대 남자/고엽제후유증 사망

    【평택=이철희기자】 월남전에 참전했던 40대남자가 제대후 22년동안 고엽제의 후유증으로 추정되는 질병에 시달리다 숨진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24일 오전 3시쯤 경기도 평택군 진

    중앙일보

    1992.05.26 00:00

  • 서울가스는 안전한가/작년 한해 폭발사고만도 7건

    ◎눈가림 안전점검… 곳곳에 “위험” 도시가스공급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23일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한 광주시 해양도시가스등 가스를 보관·관리하는 장소에서 뿐만 아니라 지하철공사현장

    중앙일보

    1992.02.24 00:00

  • 지하 전선 등 일부 하수도관 관통|하수 역류·단전 유발

    서울 지역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전화 케이블·전선·도시가스관 등 상당수가 하수도관을 관통하고 있어 하수 역류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는 데다 하수물 속의 상수관·전선 부식 등으로 누

    중앙일보

    1992.02.17 00:00

  • 지하철공사 이것이 문제다(하)|무리한 공사로 시민들 "사고불안"

    상·하수관, 도시가스배관, 송전선로 등이 얼기설기 얽힌 지하를 파고 들어가 긴 터널을 뚫는 지하철공사현장 곳곳에는 항상 대형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지난71년부터 시작된 1기

    중앙일보

    1992.01.29 00:00

  • 정화조 설치기준 강화

    내년부터 분뇨를 처리하는 정화조의 성능과 재질 등 설치기준이 크게 강화되고 「정화조 기능사제도」가 신설돼 시공단계부터 부실을 막게된다. 환경처는 최근 주택건설 붐을 타고 설치되는

    중앙일보

    1991.11.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