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 지나는 소형가스管 圖面에도 아예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에서 최근 잇따라 발생한 도시가스관 파손사고도 대구 도시가스 폭발사고와 유사한 유형으로 나타나 같은 사고가 어디서나 있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일부 도시가스관이 지하도면에 아예 없거나 공사과정에서 가스관이 묻혀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안전수칙을 무시하는등 총체적인 부실이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서울시내 지하에 매설된가스관의 절반이 샐 가능성이 높다는 前도시가스회 사직원의 고백은 가스관 부실시공 실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하정보 부재=발주처인 관공서와 시공업체는 상.하수도 배관교체작업중 일정 규모미만의 도시가스관에 대한 도면이 전무하거나입찰이권이 개입돼 있어 매설도면을 대외비로 외부에 밝히기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영등포구양평동1가에서 주원건설이 포클레인을 동원,하수도 배관을 바꾸는 공사중 바로 옆에 있는 40㎜짜리 도시가스관을 건드려 가스가 샜으나 구청측이 시공업체에 넘겨준 도면에는 주택가의 소형가스관이라고 해서 가 스관이 표시되어있지 않았다.
같은달 28일 서울성북구동선동의 가스누출사고는 낡은 하수관교체작업을 하던 포클레인이 바로 아래 있는 가스연결관까지 끌어올려 이음새 부분이 손상돼 가스가 누출됐지만 역시 도면에 나타나있지 않았다.물론 전국도시의 종합적인 지하지도도 없는 상태다.
한국가스공사측은 또『도시가스 회사들이 가스관 공사업체 선정때 입찰과 관련,이권이 개입돼 있어 가스관 매설도면을 대외비로 취급,공개를 꺼린다』고 털어놨다.
◇지하공사 수칙무시=대구 도시가스사고는 사전허가를 받지 않은상태에서 천공작업을 했고 공사비를 줄이기 위해 가스관이 드러날때까지 사람이 손으로 흙을 파내야 하는 구청 굴착조정위원회의 지침을 어겼으며 다른 지역의 공사도 마찬가지다 .
서울양평동 하수관교체작업의 경우 공사현장 관계자는『뒷골목 하수도 공사여서 도면에 있는 상수도관만 파악했지 도시가스관의 위치를 알아보지 않았다』고 실토했다.
〈특별취재반〉 시공업체들은 굴착공사를 하기전 지하에 묻혀있는매설물이 어떤 것들인지 철저히 조사하고 도시가스회사등 관련업체등과 협의,가스관 설계도면을 갖고 현장확인을 거쳐 공사 해야 하는데도 이를 어기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지난달 30일에는 서울강동구둔촌동 주공아파트앞 하수도공사장에서 가스관이 묻혀있는 사실을 모르고 파일박는 작업을 하던 (주)건영기업은 직경 5백㎜의 가스관이 발견되자 공사를 중지하는 소동을 빚었다.
◇부실가스관=서울 모 도시가스회사에 근무했다 퇴직한 K(38.증언 18面)씨는 1일 中央日報에 가스관 부실실태를 폭로,『특히 이음새 부분의 용접이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K씨는『공사가 완료된 후 가스안전공사 직원의 입회 아래 관이 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밀(氣密).내압(耐壓)시험에서 불합격이 될 경우 시공회사가 공사금액의 5~10%를 주면 눈감고 합격시켜주는게 상례』라고 폭로했다.
뿐만 아니라 가스관련시설 시공업체들은 대부분 소규모 영세업체여서 안전사고 재발 위험이 높다.
시공업체는 가스설비공사의 특수성상 건당 공사비가 1억원 이상인 공사를 취급했거나 고압가스기계기능사 1급 이상 자격을 갖춘기능사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그러나 대부분 형식적인 자격 요건만 갖추었을 뿐 거의 모두 영세업체라고 시. 구청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사후안전허술=공사현장에서 가스가 새도 자동경보장치가 안돼 있는 것이 큰 문제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대형사고만 시청.가스안전공사등 상급기관에 보고되며가정으로 연결되는 가스관 공사중 일어나는 사고는 서울시 6개 도시가스회사들이 자체수습으로 그쳐 정확한 사고 건수는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