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어른의 평균신장 남자 백69.2 여자 백58.1

    우리 나라 성인의 평균신장이 남자의 경우 1백69.2cm, 여자의 경우 1백58.1cm로 나타났다. 경희대 의대예방의학실 박순영 교수가 22∼27세의 남자 5천8백63명과 20∼2

    중앙일보

    1974.12.28 00:00

  • 비만증 치료는「행동제한」으로

    「컬럼비아」대 욋과 대학교수이며 영양학연구에 대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디어도·밴·이탈리」박사는 최근「유·에스·뉴스·앤드·월드·리프트」지와의 회견을 통해 커다란 문제로 부각

    중앙일보

    1974.07.20 00:00

  • (101)손발이 차고 허리가 아프다

    제법 규모가 큰 제과점을 경영하고있는 S씨는 2남1녀의 가장으로서 이웃으로부터 부러움의 대상이다. 나이는 43세. 키 1m70cm, 몸무게 65kg으로 한국남자로서는 표준형을 약간

    중앙일보

    1974.05.20 00:00

  • (95)현대인의 이상적 운동은 수영

    더럽혀진 공기, 시끄러운 음향,「스트레스」등 갖가지 위협 속에서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운동이 무엇이냐 하는 문제는 건강연구가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중앙일보

    1974.05.13 00:00

  • (84)|몸무게가 줄었다

    K씨는 자그마한 양품점을 경영하고 있는 2남 1녀의 가장이다. 나이는 39세, 키는 1m70cm. 한국인 남자로서는 비교적 표준형이다. 평소 주위 사람들에게 건강하다는 말을 듣는다

    중앙일보

    1974.04.30 00:00

  • (51)뚱뚱하다고 꼭 나쁜 것은 아니다.

    병원에 간 것을 후회하면서 시들시들 우울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H씨가 최근 겪은「에피소드」는 퍽 교훈적이다. 이제 40줄에 들어선 H씨는 자그마한 무역회사를 경영, 그런대로 재미를

    중앙일보

    1974.03.21 00:00

  • 허리 1센티는 수명 10년

    「당신은 우리 회사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 체중을 초과했습니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사장 자격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이 마지막 선고는「패션·모델」에게 내려진 것이 아니다. 실은 미

    중앙일보

    1974.03.04 00:00

  • 보다나은 식품으로 건강을|세계보건기구가 조사한 영양지식 25장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전세계적인 영양 실태조사를 거쳐 성장기별로 따진 영양에 관한 25개의 기본 지식을 계몽「캠페인」에 이용하고 있다.『보다 건강한 세계를 위해 보다 나은

    중앙일보

    1973.12.01 00:00

  • (38)이만기|민물양어

    바다양어와 민물양어는 다소 다른 점이 있다 바다는 넓고 염분이 있으며 천연먹이가 민물보다는 많으나 민물은 먹이환수 그 밖의 환경에 한층 세심해야 한다 양어에 성공하려면 물고기에 대

    중앙일보

    1973.11.01 00:00

  • 창경원의 한국산 표범|비만증으로 죽어

    창경원동물원에 한 마리 밖에 없는 한국표범 수놈(12살)이 운동부족과 비만증으로 빚어진 「심강근육내지방축적에의한 심실만막증」으로 지난7월21 죽었다. 창경원위생과장 김정만씨의 해부

    중앙일보

    1973.08.04 00:00

  • (35)당뇨병

    『당뇨병 조기치료, 우리들의 장수비결』-재작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보건 일에 내건「슬로건」이다. 마치 전염병처럼 늘어나기만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 대한 대책을 어떻게 세우느냐

    중앙일보

    1973.07.21 00:00

  • 영양상태 나쁜 농촌어린이

    우리 나라 농촌 어린이는 도시의 어린이에 비해 영양상태가 훨씬 뒤떨어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16일 서울의대 채범석 교수는 서울의 삼류가정·중소도시·두메산골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중앙일보

    1972.12.16 00:00

  • 한국인의 표준체중|고대의대부속 우석병원 2년 간 연구결과

    『당신의 체중은 표준인가』아니면 『비만(비만)인가』를 금방 알아낼 수 있는 표준 체중치가 연구되었다. 넓게는 한국인의 표준 체중치는 얼마인가 하는 것을 연구한 것인데 고대의대 내과

    중앙일보

    1972.02.18 00:00

  • 뚱뚱보도 건강하다

    마른 사람이 뚱뚱한 사람보다 건강한 경우가 많으며 또한 체중이 표준 이상으로 늘어날 때 그것은 곧 건강에 대한 위험 신호가 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과학 상식이다. 그러나 최

    중앙일보

    1971.10.25 00:00

  • 올해 최우량아 4명 선정

    서울시는 26일 제25회 어린이 건강심사결과 최 우량아로 영아 부에서 오지명군(생후 10개월·충무로5가2·보호자 오승남) 유호선 양(11개월·대조동 232의17·보호자 유수선),

    중앙일보

    1971.04.27 00:00

  • 당뇨병은 생활향상과 비례한다.

    오는 4월 7일 제 20회 세계보건일을 맞아 세계보건기구(WHO)는 당뇨병을 표방과제로 내걸었다. 『당뇨병 조기치료, 우리들의 장수비결』이란 표어를 선정,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중앙일보

    1971.04.05 00:00

  • 1인1기 목표

    서울시는 70년대의 시민상을 5백만 시민을 「스포츠」인구화하는데에 두고 시민 체위 및 체력향상을 도모키로 했다. 서울시는 이를위해 「1인1기」익히기를 목표로하여 운동장등 운동에 필

    중앙일보

    1970.01.06 00:00

  • 간장염 재발

    문=간장염이 3개월만에 재발되어 입원했던 사람입니다. 2주일간 입원 끝에 호전되었고 의사는 그 이상의 치료보다 안정과 영양을 취하도록 권해서 절에가서 휴양을 하며 간장약과 영양제를

    중앙일보

    1969.12.02 00:00

  • 영양실조

    국민의 영양문제는 국력과 관계가 깊다. 영양실조나 영양과다는 모두 국민의 힘을 뺀다. 우리는 때때로 뚱뚱이 미군병사를 보는 일이 있지만, 그가 기동력있는 군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

    중앙일보

    1969.11.07 00:00

  • 국민거의가 영양실조

    한국인의 섭취음식물의 「칼로리」가 권장량에 훨씬 미달할뿐 아니라 식비가 의복비보다빈약하다는 사실이 한국의과학연구소 (이사장윤덕선)의 영양조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 영양조사에

    중앙일보

    1969.11.06 00:00

  • 일상에 5억원 과세

    국세청은 주한일본상사에 대해 영업세2억2천6백28만7천원(18개상사)과 법인세2억7천3백66만1천원(17개상사)등 모두4억9천9백94만8천원의 세금을 부과했다. 오는 10일을 납기

    중앙일보

    1968.10.08 00:00

  • 한국 소아의 발육 표준치|모유모가 더 우량

    「한국 소아의 발육 표준치」가 최근 소아과학회와 보사부의 공동조사에 의하여 제정되었다. 1965년 6월부터 66년 3월까지 전국 각지의 대도시와 시·읍 중간도시 그리고 농어촌에서

    중앙일보

    1967.05.11 00:00

  • 도시의 어린이가 월등히 낫고 부모학력 높을수록 발육 좋아|보사부, 청소년 발육 표준치 발표

    보사부는 5일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발육 표준치를 조사, 발표했다.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 작성된 이 표준치는 대한 소아과협회의 협조를 얻어 작년3월에 착수, 신생아로부터 18세까지

    중앙일보

    1966.10.05 00:00

  • 일 3대 신문 논설위원좌담

    한-일 양국은 20년간 막혔던 문호를 열고 우호선린관계의 이웃으로서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다.「한-일 신시대」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문턱에 서서 일본언론의 삼대 지주라 할「아사히」

    중앙일보

    1966.01.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