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대에 수백억 안겨줬다…배터리 수명 마술사, 선양국 유료 전용
국내 대학들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등에 넘겨주고 받는 수익은 연간 1000억원 정도다. 연도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KAIST가 연간 80억원 안팎, 서울대가 70억원 안팎의 수
-
“내 최고 작품은 폭탄이죠”…30년간 매주 논문 낸 석학 유료 전용
‘0.1%를 만나다’가 만나온 세계 정상급 석학들은 한결같이 연구의 ‘양보다 질’을 강조했다. 학계는 논문을 많이 썼다고 인정받는 곳이 아니라 한 편을 쓰더라도 임팩트 있는 성과
-
담배 안 피우는데 '폐암' 걸렸다…'돌연변이' 추적하는 명의 무기
━ [0.1%를 만나다] 안명주 교수 안명주 교수 [중앙포토] 국내 암 발병률만 놓고 보면 갑상샘암이 가장 높지만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
-
비흡연 폐암 잡겠다…‘돌연변이’ 쫓는 명의
━ [0.1%를 만나다] 안명주 교수 안명주 교수 [중앙포토] 국내 암 발병률만 놓고 보면 갑상샘암이 가장 높지만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
담배 안 피우는데도 폐암…‘돌연변이’ 추적하는 안명주 유료 전문공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사실상’ 폐암이다. 발생 숫자로만 보면 갑상샘암이 조금 더 많지만, 갑상샘암은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폐암이
-
‘30% 수명연장’ 꿈 이뤘다…K배터리 선봉장, 조재필 유료 전용
배터리가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 휴대전화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까지. 현대인의 하루는 배터리 충전으로 시작해 방전으로 끝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충전해 재
-
'지능제어' 세계 톱 연구자…산불 고통 호주가 SOS 친 한국인
━ [0.1%를 만나다] 안춘기 교수 안춘기 교수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강조한다. 젊은 나이에 그를 ‘0.1%의 연구자’로 만든 비결이다. 김
-
기계에 ‘두뇌’ 심는다, 지능제어 연구 세계 톱
━ [0.1%를 만나다] 안춘기 교수 안춘기 교수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한 우물만 파야 한다”고 강조한다. 젊은 나이에 그를 ‘0.1%의 연구자’로 만든 비결이다. 김
-
낙동강 페놀이 인생 바꿨다, 47세 늦깎이 교수의 반전 유료 전용
세계적 석학들은 일찌감치 자신만의 길을 찾아 연구를 시작한 경우가 많다.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듯, 이른 나이에 연구를 시작해 보통 40대에 학문적 전성기를 맞는다. 물
-
40년 미해결 난제 풀었다…‘로봇 두뇌’ 만드는 안춘기 유료 전용
지난 설 연휴, 안춘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호주로 향했다. 호주 연구진으로부터 산불을 감시하는 드론을 공동 연구하자는 제안을 받아서였다. 2019년 9월 발생한 호주
-
"절대 '문송'할 필요 없다"…'세계 0.1%' 4년째, 48세의 비결
━ 한희섭 교수 한희섭 세종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는 48세의 젊은 석학이다. 늘 웃는 친절한 모습은 서비스업을 해도 성공했을 법하다. 강정현 기자 글로벌 학술정보
-
문송 시대, 문과생 0.1% 됐다…‘4년째 세계 석학’ 48세의 비결 유료 전용
글로벌 학술정보 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상위 0.1%에 해당하는 연구자들을 ‘HCR(Highly Cited Researchers)’로 선정한다. 그런데
-
노벨상 발표날, BTS 틀었다…자타공인 ‘나노 대가’ 현택환 유료 전문공개
■ 0.1% ‘월클’ 박사들의 특강 「 학문의 세계에도 ‘월드 클래스’가 있습니다. 축구계의 ‘월클’ 손흥민처럼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학계에서 ‘엄지척’을 망설이지 않는 연구
-
우리도 ‘월클’ 연구자 있다…0.1% 세계로의 초대 유료 전용
━ 우리에게도 월클 연구자가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세상. 그 선두에서 인간이 닿지 못한 영역에 길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치병을 치료하고, 환경 파괴를 막고,
-
[교육이 미래다] 임종환·박상원 교수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에 선정
경희대학교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의 농학 분야에서 선정된 임종환 고황명예교수(왼쪽)와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정된 박상원 교수. [
-
세종대 한희섭·명승택 교수, 2022년 ‘세계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전공 한희섭 교수와 나노신소재공학과 명승택 교수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서 발표한 2022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로 선정됐다.
-
경희대 출판문화원, 2022년 세종도서 3종 선정
경희대학교(총장 한균태) 출판문화원이 발간한 도서 3종이 ‘2022년 세종도서’에 선정됐다. 학술 부문에 1종, 교양 부문에 2종이 선정됐다. 학술 부문의 『란다의 유까딴 견
-
서울시립대 IJUS (도시과학국제저널) SSCI 도시 분야 Q2 진입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서순탁)와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회장 김찬호)가 공동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도시과학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
-
韓 '엘리트 수학'은 선진국인데…교실은 '수포자' 늘었다, 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5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열린 국제수학연맹(IMU) 필즈상 시상식에서 필즈상을 수
-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빅 미스매치’]중국 AI인재 100만 명 육성 추진…대만 국가가 직접 반도체 인재 양성
━ SPECIAL REPORT 지난해 3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의 참석자들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말 중국은 18개 성(省)의 당서기를 교체했다. 당서기
-
[단독]340억 대박난 '염색 샴푸'…KAIST·식약처 싸움난 이유
흰머리의 60대 남성이 모다모다 샴푸를 사용히기 전(왼쪽)과 8주 뒤의 모습, 갈변현상 때문에 머리카락이 흑갈색으로 변했다. [사진 모다모다] ━ "모다모다 염색효과 광고는
-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고려대 교원 5인 선정, 김종승 교수 8년 연속 선정
글로벌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전 톰슨 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 이하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21년 세계에서 가장
-
서울대 논문량 세계 13위, 질 828위…이러니 韓 노벨상 없지 [뉴스원샷]
노벨상 메달. 중앙포토 올해도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아르뎀 파타푸니언(이상 미국), 화학상은 벤자민 리스트(독일)와 데이비드 맥
-
"왜 맵지?"에 노벨상 답 있었다…120년간 0명 한국의 숙제 [현장에서]
노벨위원회가 노벨상 수상자에게 수여하는 노벨상 메달. [사진 Ap=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노벨화학상을 마지막으로 2021년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모두 가려졌다. 미국(4명)·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