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설 연휴, 안춘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호주로 향했다. 호주 연구진으로부터 산불을 감시하는 드론을 공동 연구하자는 제안을 받아서였다.
2019년 9월 발생한 호주 산불은 무려 5개월간 계속됐다. 남한 면적보다 넓은 1860만ha( 헥타르)의 삼림이 소실됐다. 서식지를 잃은 코알라가 멸종 위기에 놓였다. 안 교수는 “호주에서 산불은 가장 큰 문제다. 그 넓은 땅을 사람이 감시할 수 없기 때문에 드론의 역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호주 연구진이 46세의 젊은 한국인 과학자에게 손을 내민 이유는 그가 지능제어 분야의 세계 톱 연구자이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2019년부터 4년 연속으로 HCR(Highly Cited Researchers)에 선정되고 있다. 글로벌 학술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해마다 선정하는 HCR은 각 분야에서 세계 상위 0.1%의 연구 성과를 기록한 연구자를 뜻한다.
그가 연구하는 지능제어는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의 핵심 기술이다. 기계가 명령을 수행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생겨도 스스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학습해서 목표를 완수하기 위한 기술이다. 기계공학자들이 로봇의 팔과 다리를 만든다면 그는 두뇌를 만드는 셈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그리고 젊은 나이에 톱 레벨 학자가 된 비결은 무엇일까.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최전선에 서 있는 안 교수를 고려대 연구실에서 만났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는 ‘기계의 두뇌’ 만든다

안춘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연구실에서 제자들과 포즈를 취했다. 그의 연구실에는 제어 이론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한 드론과 로봇이 가득했다. 김현동 기자
- 기계의 지능제어라는 게 뭔가요.
- 이 방에서 문을 열고 나가라고 한다면 인간은 처음 와 본 방이어도 쉽게 나갈 수 있죠. 하지만 기계는 갓난아이 같아서 문이 뭔지,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돌려야 열리는지도 몰라요. 이런 상황에서 기존 지식을 갖고 추측하고 예측하면서 방법을 찾아내는 게 지능제어입니다. 자율주행차가 가다가 터널에 들어가서 위치정보가 끊겼다고 해 보죠. 그 상황에서도 주변 정보를 학습하고 기존 지식을 갖고 길을 찾아내는 게 지능제어입니다.
- 호주 산불 드론에는 어떻게 적용됩니까.
- 넓은 범위를 커버하려면 드론이 편대 비행을 해야 해요. 사람이나 코알라가 타 죽기 전에 먼저 발견하고, 다른 드론에게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찾게 하는 것이죠. 이건 북한 무인기 침범에 대비하는 기술이기도 해요. ‘안티드론’이 편대 비행을 하면서 자동으로 적의 드론을 발견하면 격추하거나 교란하는 기술도 연구 중입니다.
안 교수는 여러 예를 들어 설명하는 중에도 계속 “아직은 기초적 수준”이라고 말했다. 인간처럼 판단하고 행동하는 AI는 언제 나오느냐고 물었더니 그는 “지금으로선 공상과학”이라며 “먼 미래라면 모르지만 불가능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