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노벨의학상 수상 프루시너 교수,치매등 뇌질환 치료에 새 장

    올해 노벨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스탠리 프루시너 교수가 새로운 질병 감염 원인으로 단백질 성질을 지닌 전염성 입자 프리온 (prion) 을 발견한 것은 의학계의 숙원인 난치성 퇴행

    중앙일보

    1997.10.07 00:00

  • 올해 노벨의학상 미국 프루시너 교수…새로운 病原인자 발견 공로

    스웨덴 한림원은 올 노벨의학상에 알츠하이머병과 광우병의 발병원인을 규명하는데 커다란 업적을 세운 미국의 생물학자 스탠리 B 프루시너 (55)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발표했다. 한림

    중앙일보

    1997.10.07 00:00

  • 과기처등 뇌연구 10년간 9천2백60억원 투입

    정부는 오는 2007년까지 민간 부담 1천7백90억원을 포함, 총9천2백60억원을 뇌 연구에 투자해 인공지능 컴퓨터 개발.치매 치료 등에 필요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키로 했다.

    중앙일보

    1997.10.01 00:00

  • [취재일기]의사들이 나설수 밖에 없는 이유

    지금은 자취를 감춘지 오래지만 펠라그라란 질환이 있다. 전신에 걸쳐 발진.수포가 돋고 구토.설사가 나타나며 심하면 치매와 의식혼탁으로 사망하는 이 질환은 니아신이라 불리는 비타민부

    중앙일보

    1997.09.29 00:00

  • [뇌의 신비를 밝힌다]下.차세대 뇌연구…노인성 치매 정복 (1)

    불로장생은 오랜 인간의 꿈. 그러나 아직은 오래 사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노인성 치매란 복병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평균수명의 향상으로 치매의 증가는 필연적이다.

    중앙일보

    1997.09.25 00:00

  • [뇌의 신비를 밝힌다]下.차세대 뇌연구…약물 연구방향 (3)

    정신과에서 처방되는 약물처럼 부정적인 대상도 없다. '미친 사람이나 먹어야하는 약물' 이란 그릇된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숨진 다이애나의 우울증을 달래준 것은 항우울제 프로작

    중앙일보

    1997.09.25 00:00

  • [뇌의 신비를 밝힌다]下.차세대 뇌연구…국내 뇌연구 현황 (4)

    현재 정기국회에 상정중인 뇌연구촉진법안은 때늦은 감이 있지만 여야가 한목소리로 낙후된 국내 뇌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뜻을 모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부차원에서 뇌연구를 독려하자는

    중앙일보

    1997.09.25 00:00

  • [분수대]'치매의 날'

    정신의학자들은 셰익스피어의 4대비극 가운데 하나인 '리어 왕' 의 주인공을 자식들 때문에 치매환자가 되는 전형적인 예로 보고 있다. 80세에 이르러 왕의 자리에서 물러나려 결심한

    중앙일보

    1997.09.23 00:00

  • [뇌의 신비를 밝힌다]上.미국·일본 첨단연구현장 탐방(1)

    새로운 밀레니엄 (2000년대) 은 뇌의 시대다. 나노 (10억분의 1) 미터로 표현되는 입자물리학에서 광속 (光速) 을 동원해야 하는 광대무변한 천체물리학의 세계까지 물질계에 대

    중앙일보

    1997.09.22 00:00

  • [새로나온 책]

    문학 ◇ 영웅의 친구들 1.2 (강철화.백본.각권6천5백원) =부정부패없는 이상국을 세운다는 내용의 정치 가상소설 ◇ 그곳에 부처가 있다 상.하 (정찬주.좋은날.7천원) =부처의

    중앙일보

    1997.09.19 00:00

  • "포도주 마신 할머니 머리좋다" 프랑스 역학연구가 조사

    적당량의 포도주를 마셔왔던 할머니가 술을 전혀 안마셨던 할머니들보다 머리가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어메리칸저널오브에피데미올로지는 노화 (老化) 와 혈관.뇌기능 변화와의 관계를

    중앙일보

    1997.09.18 00:00

  • 형광등으로 치매·불면증 개선… 하루 1시간 10일후 효과

    '선다우닝 신드롬' . 해가 지면 오히려 신바람 (?) 이 나는 증상이다. 치매와 같은 뇌기능장애 환자들에게 많은 이 수면장애의 특징은 남들이 자는 시간에 오히려 또렷한 의식을 갖

    중앙일보

    1997.09.08 00:00

  • 춘천 한방병원 내달 개원

    춘천한방병원 (원장 盧容鉉) 이 오는 9월25일 춘천시석사동에 지하1층.지상5층 규모로 개원한다. 지난 95년 70억원을 들여 공사가 시작된 춘천한방병원은 춘천에서는 첫 한방전문병

    중앙일보

    1997.08.28 00:00

  • 순천 치매요양원 착공 1백명 무료 수용예정

    치매로 고생하고 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을 무료로 보호.치료할 전문요양원이 최근 순천에 착공됐다. 순천시는 20일 "노인치매전문요양원이 순천시상사면흘산리에 내년 6월 완공목표로 진입도

    중앙일보

    1997.08.21 00:00

  • 난치병 한방치료법 국가주도 연구추진 계획

    보건복지부는 5일 치매.암.에이즈.심장질환.골다공증.알레르기.뇌혈관질환등 7대 난치병의 한방치료법 개발사업을 국가주도로 2010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복지부는 올해부터

    중앙일보

    1997.08.06 00:00

  • [간추린소식]보건복지부,난치병 한방치료법 국가주도 연구키로

    보건복지부는 5일 치매.암.에이즈.심장질환.골다공증.알레르기.뇌혈관질환등 7대 난치병의 한방치료법 개발사업을 국가주도로 2010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복지부는 올해부터

    중앙일보

    1997.08.06 00:00

  • [인터뷰]김성호·최원규·피터 김 박사

    생화학및 분자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재미 과학자 金聖浩 (61.UC버클리대 화학과 교수).崔元圭 (44.워싱턴대 신경학과 교수).피터 김 (39.MIT 교수) 박사가 제1회

    중앙일보

    1997.07.30 00:00

  • 서울시,복합여가단지 4곳 조성

    오는 2001년까지 서울시내에 문화예술 공연기능과 스포츠.오락시설을 한데묶은 21세기형 시민복합 여가단지가 처음으로 건립된다. 또 25개 자치구마다 노인종합복지관과 청소년회관.구민

    중앙일보

    1997.07.29 00:00

  • 치매아닌 건망증도 치료대상

    나이 들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을 깊어지는 주름살처럼 노화 (老化) 의 한 과정으로 흔히 지나친다. 그러나 세계적인 의학권위지 랜싯 최신호는 치매가 아닌 인지 (認知) 능력장애

    중앙일보

    1997.07.21 00:00

  • SBS 이상구 박사의 '명의특강 건강하십니까'

    88년 '엔도르핀' 과 'T임파구' 를 화두로 건강바람을 불러 일으켰던 재미의학자 이상구 (李相玖.54) 박사가 귀국, 두달 동안 건강특강을 재개한다. 그동안 미국에서 연구에 전념

    중앙일보

    1997.07.21 00:00

  • 치매치료법 2013년 개발 - 일본 과학기술청 향후 30년 기술 예측보고서

    일본 과학기술청은 10일 향후 30년간 개발될 가능성이 있는 기술을 예측한 조사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의료.정보.에너지등 각 분야 전문가 약 5천명을 상대로 한 앙케트를

    중앙일보

    1997.07.12 00:00

  • 腦연구.생명공학 촉진등 2개법안 발의 - 통신과학委 입법활동 활발

    여당 경선 탓으로 상당수 의원이 불참해 맥이 빠진 국회지만 일부 상임위원회에선 꽤 의미있는 입법들이 추진되고 있다. 통신과학위원회에서 11일 의원들이 발의한 '뇌 (腦) 연구촉진법

    중앙일보

    1997.07.12 00:00

  • 부산지역, '열린학교 열린교육'행사

    …부산지역 불교.기독교.천주교.원불교.천도교 등의 젊은 성직자 모임인'숲속의 학교'는 8월 1일부터 7일까지 경남 울주군 상북면의 원불교 청소년훈련원에서 제2회'열린학교 열린교육'

    중앙일보

    1997.06.29 00:00

  • 미원, 치매 치료 신물질 개발

    ㈜미원은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복합체(NMDA) 수용체를 줄여주는 1백여개의 신물질 합성에 성공,이중 2개물질을 특허출원했다고 24일 밝혔다.미원은 지난 95년부터'뇌졸중 및

    중앙일보

    1997.06.25 00:00